earticle

논문검색

조선전기 석조불상 연구 - 편년과 양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one Buddha Statues that Were Made in in Joseon Dynasty

정성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seon was built in 1392 by Lee seonggye. Promoting Confucianism and oppressing Buddhism is Joseon’s founding principle of a nation. Many people have been thought that In Joseon dynasty making Buddha statue had been decreased. However Many Buddha statues were made after founding a country. This article studied about Buddha statues which have an inscription. The Buddha statues are Boryeong Geumgangam sitted Buddha statue, Dangjin unjeongni Buddha statue, Yesan jangsilli Rock-carved Buddha, Jindo geumgolsan Rock-carved Buddha, Paju yongmiri Rock-carved Buddha, Cheonan jangsalli stone Buddha statue, Anyang manghaeam stone Buddha statue, Gongju illaksan and Rock-carved Buddha. All of them were made in 15th century. Especially the period of King Sejo and Sungjong, most of Buddha statues were made. Some of the Buddha states were made in 15th century have Bogae. Bogae is a kind of hat. Only Korean stone Buddha statutes have Bogae. The Bogae that was made 15th century looks like a hat which used by Mongolian. This thesis deals with other stone Buddha statutes which have similar features with 15th century Buddha statutes. These are Jejudo boksinmireuk, Anseong daenongni Buddha statue, Yangpyeong bulgongni Buddha statue, Anseong guksaam Buddha statue, Suwon pajangdong Buddha statue. This article could proved those Budda statue were made between 15th and 16th century.

한국어

조선은 유교를 건국이념으로 삼아 세워진 나라이다. 조선은 표면적으로 숭유억불 정책을 국가의 이데올로기로 삼았으나 숭불의 전통은 조선시대 내내 지속되었다. 다만 고려시대와 같이 국가적인 지원이 지속되지 못하고 왕이나 내전의 취향에 따라 불교에 대한 지원이 분절적이었다. 조선전기의 경우 15세기에는 일반백성들뿐만 아니라 왕실에서도 적극적으로 불교를 지원하였다. 이는 현재 남아있는 명문이 있는 석조불상들을 통해서 유추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록이나 명문을 통해 구체적인 조성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불상을 고찰하였다. 조성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조선전기 석조불상은 다음과 같은10구의 불상이 있다. ① 보령 금강암 석불좌상(1412년, 永樂10年, 태종 12), ② 당진 운정리 석불입상(1428년, 宣德3年, 세종 10), ③ 예산 장신리 마애불상(1465년, 成化1年, 세조 11), ④ 진도 금골산 마애불상 (1469~1471년, 成化5年~成 化7年, 예종 1~성종 2), ⑤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1471년, 成化7年, 성종 2), ⑥ 천안 장산리 석불입상 (1476년, 成化12年, 성종 7), ⑦ 안양 망해암 석조여래입상 (1479년, 成化 15年, 성종 10), ⑧ 공주 일락산 마애지장보살입상 (1465~ 1487년, 成化年間, 세조 11~성종 18), ⑨ 서울 약사사 석불입상 (1490년, 弘治3년, 성종 21), ◯10 서울 상운사 석불좌상 (1497, 弘治10年, 연산군 3). 이 불상들 중 안양 망해암 석조여래입상과 서울 약사사 석불입상의 명문은 필자가 참여하여 밝힌것이다. 명문이나 기록이 있는 조선전기 석조불상들의 특징은 주로 성화연간에 조성되었으며 전부 15세기에 조성된 불상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명문이 있는 불상들이15세기에 집중된 이유는 고려시대 숭불의 전통이 15세기까지 지속되었기 때문일것이다. 역사의 시대구분은 국가의 건국이 주요 기준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조선전기 석조불상의 분포구조는 불교문화와 유교문화의 구분이 고려와 조선으로 나누어지지 않으며 15세기와 16세기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 10곳에 위치한 명문기록이 있는 조선전기 석조불상의 양식과 형식적 특징을바탕으로 8곳의 석조불상 편년을 구체적으로 추정하였다. 원정모형 보개를 착용하고 있는 제주도 복신미륵 2기와 안성 대농리 석불입상, 양평 불곡리 석불입상, 안성 죽리 석불입상을 15세기 경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하였다. 안성 국사암 석조 삼존불상과 임실 이도리 석불좌상, 수원 파장동 석불입상은 16세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18곳의 석조불상은 조선전기 불교문화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물질자료가 된다. 이밖에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거의 논의 되지 않았던 조선시대 석조불상의 구체적인 조성시기와 양식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목차

I. 머리말
 II. 기년명 석조불상
  1. 보령 금강암 석불좌상(1412년, 永樂十年)
  2. 당진 운정리 석불입상(1428년, 宣德三年)
  3. 예산 장신리 마애불(1465년, 成化元年)
  4. 진도 금골산 마애불(1469~1471, 成化五年~成化七年)
  5. 파주용미리 마애이불입상(1471년, 成化七年)
  6. 천안 장산리 석불입상(1476년, 成化十二年)
  7. 안양 망해암 석불입상(1479년, 成化十五年)
  8. 공주 일락산 마애지장보살입상(1465~1487년, 成化年間)
  9. 서울 약사사 석불입상(1490年, 弘治三年)
  10. 고양 상운사 석불좌상(1497년, 弘治十年)
 III. 양식적 특징과 편년
  1. 양식적 특징
  2. 조선전기 석조불상
  3. 미술사적 의의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 정성권 Jeong, seong-kwon.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