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트라우마적 경험의 다큐멘터리에서 구축된 공동 수행적 실천의 양상과 의의 - <꿈꾸는 카메라>와 <액트 오브 킬링>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Mode and Meaning of Co-performative Practices in Documentary about Traumatic Experiences - Focusing on Born into Brothels and Act of Killing

홍유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iscusses co-performative practices in documentaries as ways to overcome the limits of realist representations by analyzing the aesthetic and ethical aspects that have been built into expressing traumatic experiences. Performative practices refer to a 'production system of making a reality in which filmmakers interact with subjects'. It is based on the theories devised by Bill Nichols and Stella Bruzzi on performative documentaries. When approaching the trauma of others, one must deal with major dilemmas in all of their ethical and aesthetical aspects. Co-performative practices emphasize this idea with the two points of production by cooperation between filmmakers and subjects and empathic relationships. It is likely that the non-symbolic nature of trauma can be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expressed based on poiesis rather than on mimesis. Moreover, it does not require sympathy or pity but instead empathy as it drives filmmakers to be strongly motivat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subjects. I find here that filmmakers configure one's trauma by materializing relationships with their subjects through recursive interactions. Such materialized relationships become products as a result of their cooperation, such as the 'photos' of Born into a Brothel, 'a film' of the Act of Killing. Most importantly, co-performative practices show that performing with victims can open up future possibilities in their communities and performing with perpetrators can arouse awareness of the fundamental structural problems of society.

한국어

이 연구는 트라우마적 경험을 조명하는 다큐멘터리에서 사실주의적 재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구축되어온 공동 수행적 실천의 양상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공동 수행적 실천의 기본적 관점이 된 수행적 실천은 빌 니콜스와 스텔라 브루치의 수행적 다큐멘터리 논의를 통해 구축된 개념이다. 이는 제작주체가 스스로를 제작 과정의 다양한 층위에서 노출함으로써 대상과의 관계 및 과정적 실천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생산된 새로운 현실을 형상화 하는 제작방식이다. 이 연구는 트라우마를 다루었던 다큐멘터리에서 발견되는 두 가지 측면, 즉 제작주체와 대상의 협업에 의한 생산물과 공감적 관계 형성을 덧붙임으로써 공동수행적 실천이라는 좀 더 구체화된 개념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타인의 트라우마에 접근하는 것은 현실지시적 매체로서 다큐멘터리에게 형식으로도, 윤리적으로 극단적인 난제이다. 따라서 생산의 과정에 대한강조는 트라우마의 비상징적 속성에 의해 현실에 대한 모방을 통해서보다 더 직관적인 접근이 되어 왔다. 극심한 고통에 처해있는 타인에게 다가기 위해 시혜적 감정보다는 정서적이면서 인지적인 사고의 흐름을 통해 제작자 스스로의 책무를 찾아가는 공감적 접근이 더욱 요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꿈꾸는 카메라>와 <액트 오브 킬링>을 분석하면서 제작자와 대상이 ‘사진’과 ‘영화’라는 공동의 생산물을 만들어나아감으로써 그들의 트라우마를 드러낼 기회를 갖게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국 공동 수행적 실천은 희생자의 트라우마적 경험을 통해 그들의 취약함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잃어버린 사회적좌표를 찾고 가능성의 미래를 제시하는 것에서, 가해자의 트라우마적 경험을 통해 가해자의 잔혹함에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양산한 상위구조의 모순과 패악을 찾아내는 것에서 의미를 찾고 있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공동 수행적 실천: 제작자의 공감적 인식과 자기각인
 3. 공동 수행적 실천에 의한 프로젝트의 양상과 의의
  3.1 <꿈꾸는 카메라> : 희생자와의 공동 수행적 실천
  3.2 <액트 오브 킬링>: 가해자와의 공동 수행적 실천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유리 Hong, You Ri.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