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중등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여창 가곡 가창 지도방안 연구 - 평조 이삭대엽 ‘버들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Female Gagok Singing for a Music Class in Secondary Education -Based on the Pyeongjo Isakdaeyeop ‘Budleeun’-

권민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agok i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heritage that artistically contains our pronunciation, breathing and the expression of utterance in leisurely melody. Sensing the flavor of the Gagok deeply, the singer is practically required to acquire not only simple appreciation, but also singing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s and tones of voice. For this reas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 several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such as pronunciation, vocalization, Sigimsae and a main item of melody on the basis of the Budleeun, the topic music of this research paper. First,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the pronunciation guidance of vowel and consonant by separating each movement of the Budleeun. A consonant sound of the Gagok should be pronounced shortly and clearly, and a fortis of the initial sound also needs to be phonated by purifying to a lax consonant. In case of a diphthong, it is necessary to be pronounced by undoing a monophthong. At this moment, the instructor ought to guide to rise up the student’s lower jaw during the change of the vowel. Second, the vocalization of the Gagok and the expression of Sigimsae should be guided by connecting with pronunciation. Moreover when it comes to the detailed expression, giving repetitive chances to practice through easy etudes is more effective. Third, the application of Jangdan by hands and Sigim by hands facilitates more effective singing with same breathing through matching the flow of a tempo. Furthermore the movement of sound can be figured out easier through the expression of Sigimsae visualized. Thus, this paper handles the expression methods of Jangdan by hands and Sigim by hands and presents contents of guidance through the concrete example of the beginning melody of the Budleeun. At the beginning stage of learning melody, it is more appropriate method for the teacher to guide students to do Jangdan by hands and Sigim by hands through Yeulmyung song, and then if the students get in the height of melody, the teacher can suggest the use of lyrics with Jangdan and Sigimsae. Suggested several guidances can play an effective role in teaching method for female Gagok singing. Consequently general student can sing the Gagok reflecting enough to be able to emphasize its features. Therefore this author hopes suggested teaching methods of Female Gagok singing are of help to educational activities for students. Moreover,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paper, more studies are expected in other teaching methods of Female Gagok singing through different melodies.

한국어

가곡은 여유로운 가락 속에 우리말의 발음과 호흡 및 발성의 표현이 예술적으로 잘 담겨져 있는 소중한 우리 음악문화유산이다. 이러한 가곡의 멋을 보다 깊이 있게 느끼기 위해서는 단순한 감상 보다 목소리와 몸짓으로 직접 표현할 수 있는 가창활동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평조 이삭 대엽 ‘버들은’을 제재곡으로 하여 발음, 발성 및 시김새, 가락의 주요 항목에 따라 지도 방안을 제시 하였다. 첫째, ‘버들은’ 악곡을 각 장별로 구분하여 자음과 모음의 발음 지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곡의 자음은 짧고 명확하게 발음하되 초성의 경음을 평음으로 순화하여 발음하도록 한다. 모음 중 복모 음은 단모음으로 풀어서 발음하며, 모음 변화 시 아래턱을 위로 올려 매끄러운 연결이 되도록 지도 해야 한다. 둘째, 가곡의 발성 및 시김새의 표현은 발음과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음역에 따른 발성의 변화와 주요 시김새의 표현을 쉬운 연습곡을 통해 충분히 반복 연습할 기회를 주고,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가곡의 표현에 익숙해지도록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손장단과 손시김을 활용하여 가락을 지도하면 한배의 흐름을 서로 맞추어 같은 호흡으로 노래할 수 있으며, 시김새의 표현도 시각화되어 소리의 움직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손장단과 손시김의 표현 방법을 살펴보고, ‘버들은’ 초장 가락을 구체적인 예로 들어 지 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가락을 익히기 위해 처음에는 율명창을 하면서 손장단과 손시김을 하도록 지도하고, 학생들이 가락의 높이에 익숙해지면 가사를 붙여 장단 및 시김새를 표현하도록 하는 것 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가곡의 발음, 발성 및 시김새 등에 따른 몇 가지 규칙만 잘 적용하여 표현하도록 지도하 면 일반 학생들도 충분히 가곡의 특징을 살려 노래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곡의 가창 지도 방안이 학생들의 교육 활동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다른 악곡을 통한 가창 지도 연구 내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평조 이삭대엽 ‘버들은’의 가창 지도
 Ⅲ.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권민영 Kwon, Min-Young. 충북예술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