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지도관찰(指導觀察)을 통해 살펴 본 효과적인 산조가야금 지도 방법 연구

원문정보

The Effective Approach of Sanjo Gayageum as Examined through Teaching and Observing

유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raditional approach of sanjo gayageum has been orally transmitted. Through this approach and for along time, the performers have reached to improvise with the instrument making their audiences cry and laugh. Also, the musicianship, from the beginning, must be learned from its great masters. These days sanjo gayageum is taught in various institutes by staff notes, not by oral transmission. This approach to sanjo gayageum has resulted in confusion with the real notes of sanjo gayageum, being transmitted with distorted. In order to resolve these contradictions of sanjo gayageum,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three approaches to teaching sanjo gayageum as examined by teaching and through observation. In the first approach, the curriculum of sanjo gayageum has been divided into beginning(focusing in technique), intermediate(playing Korean folk songs), and advanced levels(playing sang). In the intermediate level, Korean folk songs and sanjo were instructed together. This approach has resulted in the surrender of learning gayageum, which has been reduced and has also resulted in confusion of the real notes of sanjo gayageum and of the acquisition of sigimsae. Secondly, the second approach was similar to the first, but the intermediated level, playing sanjo, was instruc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ifficulty of sigimsae and according to technique. Also, this approach, using gueum has distinguished the result of performing sanjo gayageum without confusing the name of gayageum from string and real note. The third approach has been instructed according to proper posture and correct technique, and by using gueum and sigimsae for performing sanjo in a one semester course. Through this approach, the basic performance of sanjo was accomplished in one semester. From these approaches, in order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of sanjo gayageum,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proper approaches to teaching sanjo gayageum. This curriculum for sanjo gayageum has been divided into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hile the beginning level also presented the approaches and contents of teaching divided into1,2,3steps. Firstly, the first step introduced good posture and the basic technique for using gueum, not notes for performing sanjo gayageum. Secondly, the basic performance of sanjo was mainly applied in the first step, and Korean folk songs were presented as reference music. Thirdly, since the staff notation is normally used in the present time, the second and third step was approached through the score. However, sigimsa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was orally instructed, and the terms representing the correct techniques of sigimsae were presented. Consequentl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proper approaches to teaching sanjo gayageum naturally acclimating students to Korean oral transmission.

한국어

전통적인 산조가야금 교수법은 구음에 의한 구전심수(口傳心授)로 오랜 기간의 수련 끝에 상황에 따라 사람을 울리고 웃기는 성음을 즉흥적으로 만들어 내는 경지에 이른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가야금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구음으로 전해지는 구전심 수의 교수법이 아니라 오선보 기보음으로 교육되고 있어 가야금 실음과 달라 혼란을 주고, 국악이 국악답게 전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조가야금 기초학습자를 대상으로 3차에 걸쳐 지도 관찰하여 현행 가야금 지도의 문 제점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지도법을 연구하였다. 제1차 지도관찰에서는 기존의 가야금 학습단계인 ‘초급(주법) → 중급(민요) → 고급(산조)’ 중 중 급 과정에서 민요와 산조를 병행 지도한 결과 학습 포기자는 줄었으나, 기보음으로 익힌 가야금 줄 이름과 가야금 실음과의 혼란이 나타났고 기보음으로 산조를 지도할 때 시김새가 제대로 학습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제2차 지도관찰의 학습단계는 제1차 학습단계와 같으나 중급 과정의 산조를 시김새나 주법의 난 이도에 따라 구분하여 지도하고, 구음으로 학습한 결과 가야금 줄이름과 실음과의 혼란이 없었으며 산조 지도 효과도 뛰어났다. 제3차 지도관찰은 현행 학교교육 실정에 따라 한 학기 과정으로 설정하여 구음으로 지도함으로 써 바른 자세와 정확한 주법을 익히도록 하였으며, 산조 지도에서는 지속적인 구음창과 시김새 용 어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학습효과가 뛰어났으며 또한 한 학기 중에 산조를 초벌 지도 할 수 있었 다. 이상과 같이 오랜 기간 교수법을 변화시켜 지도관찰한 결과, 산조가야금 교육과정을 초급ㆍ중급ㆍ고급으로 나누고 초급단계를 1ㆍ2ㆍ3단계로 구분하여, 초급 단계에서 효과적인 산조가야금 지 도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초급 1단계에서는 악보를 제시하지 않고 구음을 활용하여 바른 연주 자세와 기초연주법을 정확히 익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산조 초벌 학습과정을 초급단계에 포함시켜 주요 교육 자료로 삼고 민요는 참고곡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초급 2ㆍ3단계에서는 오선보가 일반화 되어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악보를 제시하되 시김새 를 우리 일상 언어로 지도하도록 시김새 용어를 제시하였고, 주요 선율음을 연주하는 주법의 정확 한 지도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산조가야금 기초 교육 과정에서 구음에 의한 구전심수 교수법을 활용하여 국악이 가지 고 있는 본질적 요소들이 학습자의 몸에 녹아 배어들도록 하는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가야금을 가야금답게 지도하고 전승할 수 있는 연구자료를 제공하 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산조가야금 지도관찰
 Ⅲ. 효과적인 산조가야금 지도 방법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유선미 Yu, Seon-Mi. 광주교육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