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Teaching Contents of Danso in the Music Textbook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초록
영어
Although danso has been applied as an educational instrument for many years, it has been less effective. In order to activate danso education, this paper is aimed at observing the teaching contents in music textbooks for students of the fifth and sixth grades and to indicate its problems as well as to improve the contents. Most of the repertoire for danso in the music textbooks has been contemporary Korean music. A few traditional Korean children’s songs and folksongs employed for singing were connected to practice danso. Also, the approaches to playing danso were only about its fingering and the changes of its pitch through its strength of blowing. The approaches to sigimsae were referred to segmentally, but they have had some mistakes. Furthermore, the technique of its playing the same tone was not presented, and jeongganbo was employed as the score for danso. However, the system of notation has some problems and lacks consistency. This study explores the approaches of danso in the music textbooks of grades 5 and 6. It was difficult to find any graduation and organization among the textbooks. For example, the contents regarding danso in grade 5 were blowing by its fingering, playing the same note, and by interpreting its notation, jeongganbo. In grade 6, the texts included how to blow by its fingering and by learning its ornamental and expressive sign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presents the proper repertoire for the approaches to playing danso. Most of the music were traditional Korean children’s songs that students had learned from grade 1 to 4 also including folk songs learned from grade 3 to 6 as the repertoire for singing. In addition, some contemporary Korean music and the first section of Taryeong of Yeongsanhoeisang were included. This paper points out that danso as an educational instrument needs to employ effective approaches, not just formal contacts. Thus, music textbooks should include the detailed and organized contents of danso considering academic levels by the grade of students.
한국어
단소는 교육용 악기로 오랜 세월동안 지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 고 있다. 단소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지도내용 을 검토하고 문제점과 개선된 지도방안을 마련하였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단소 제재곡은 대부분 창작곡 중심으로 제시하였고, 가창곡으로 소개된 전 래동요와 민요 중에서 기악활동으로 연계하여 단소로 연주할 수 있는 곡은 일부에 불과하였다. 대 부분 운지법과 입김의 세기에 따라 음의 높낮이가 달라지는 내용에 비중을 두었으며, 단편적으로 시김새에 대해 언급하였지만 오류를 범하였다. 또한 동음 주법을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같은 음 이 반복해서 출현할 때 연주방법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기보방식은 대부분 정간보로 이루어졌으 며, 일부에서 기보체계에 문제가 제기되었다. 정간보는 시기에 따라 그 기보체계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관성 있게 적용시켜야 한다. 5․6학년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단소 지도내용에서 수준을 고려한 단계별 학습이나 체 계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단소교육을 위해서 학년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단소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는데, 5학년은 운지법에 따른 소리내기(仲~淋)․동음 주법․정간보의 이해를, 6학년은 운지법에 따른 소리내기(潕~㳲)와 단소의 장식부호․표현부호를 학습하였다. 단소 지도내용에 알맞은 제재곡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악곡을 직접 연주해 보도록 하였다. 제 재곡은 전래동요와 민요가 주류를 이루며, 일부 창작곡과 영산회상 중 타령 1장이 포함된다. 전래동 요는 1학년부터 4학년까지 가창활동을 통해 학습된 곡이며, 민요는 대부분 3학년부터 6학년까지 음 악교과서에 가창곡으로 수록되어 있는 것을 단소로 연주하였다. 단소가 교육용 악기이기 때문에 형식적으로 지도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효과적인 단소교 육을 위해서는 음악교과서에 학년별로 수준을 고려한 지도 내용이 구체적으로 올바르게 제시되어야 한다.
목차
Ⅱ. 음악교과서의 단소 지도내용
Ⅲ. 단소 지도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