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the Scooping Water Songs for Approaching Korean Work Songs
초록
영어
Teaching Korean folk songs is important from the aspe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s were formed in the working fields, from being performed at ceremonies, and from entertaining amusing cultures. Korean lives and cultures of the time reflected in the songs can be learned from these songs. Since Korean folk songs had been transmitted through such everyday activities like work, ceremonies, and plays, the approaches to teaching Korean folk songs need to focus on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folk songs and on learning about Korean life, culture, and on musical grammar as sung through the functions of Korean folks. In order to teach Korean folk songs, the songs need to be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ir particular function; work songs, ceremonial songs, and amusement songs. These songs should be studied regarding their educational approaches. This paper is the study of the analysis of the scooping water songs and of the organizational approaches to teaching work songs as a group or type of songs. Since these song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work songs as well the lyrical content of social and cultural songs expressing the importance of water, the approaches to teaching the songs are numerous. Thus, this paper proposes approaching these songs from the points of view of the lyrics of the scooping water songs, the songs" roles, meanings, as well as from their features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ngs such as tori, jangdan, and singing form. In conclusion, this paper developed four approaches for this type of song: the relation with water and farming, the kinds of agricultural implements, the counting manners of the scooping water numbers and the folk songs for counting numbers, and the life of Korean people. In additi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lation with the motion and jangdan of scooping water and the tori and the regional singing form of songs were selected as approaches to the songs. For the following studies, this paper expects the approaches to teaching work songs to be developed using more altermate methods and to extend these approaches to include the other functional songs for working, serving or entertaining.
한국어
민요를 지도하는 것은 노동의 현장, 의식의 거행, 놀이 문화 속에서 생성된 민요의 특성과 그에 반영된 우리 민 족의 삶과 문화 등을 지도한다는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민요는 일, 의식, 놀이와 같은 생활의 필요성 에 의해 불려졌기 때문에, 학생들이 민요를 통해서 민요의 기능을 이해하고 각각의 기능에 따라 노래를 불러왔 던 우리 민족의 삶과 문화, 음악 어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의 기능에 따른 민요를 각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 각 기능별로 적합한 민요를 선정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 록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중 노동요에 초점을 맞추어 농업노동요에 속하는 물 푸는 소리를 분석하고, 물 푸는 소리를 통해 노동요를 지도할 때 어떤 내용을 선정하여 지도 내용을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물 푸는 소리 는 노동요의 일반석인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에 있어 ‘물’이 지니고 있는 중요성으로 인해 물 푸 는 소리의 노랫말에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지도할 수 있는 지도 요소가 풍부하다. 물 푸는 소리를 고찰함에 있어 각 지역별 물 푸는 소리의 노랫말에 담긴 기능적 측면과 노랫말의 의미, 특징 등을 살펴보았으며, 토리, 장 단, 가창 방식 등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물 푸는 소리의 지도 내용을 노랫말과 음악적 특징의 두 가지 측면 에서 제시하였다. 물 푸는 소리의 노랫말과 관련된 지도 내용으로는 물과 농업의 관계, 물을 푸는 농기구의 종류, 물을 풀 때 숫자 를 세는 방법과 숫자를 세며 부르는 민요, 우리 민족의 생활 모습이라는 네 가지 내용을 선정하여 지도 내용을 구성해 보았다. 또한 음악적 특징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물을 푸는 동작과 장단의 관계, 지역에 따른 민요의 토리 , 가창 방식의 종류에 대한 내용을 선정하여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노동요는 노랫말과 음악적 요소가 한데 어우러져 노동의 현장에서 일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동체 의식을 발현시 킬 수 있는 등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노동요를 지도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노동요의 쓰임이나 악곡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학생들이 노랫말에 담긴 우리 민족의 생활 모습, 정서 등과 같은 사회?문 화적 맥락과 가치를 파악하고, 노랫말을 담아내는 음악적 어법을 터득하여 노동요를 불렀던 그 현장에 대해 공 감하고, 기능요로서 노동요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앞으로 노동요 지도를 위해 제재곡과 그에 따른 지도 내용이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노동요뿐 만 아니라 의식요나 놀이요와 같은 기능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II. 지역에 따른 물 푸는 소리의 고찰
III. 물 푸는 소리의 지도 내용 구성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