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07 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 창작 지도 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of Composing Korean Music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강은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ational music textbook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 and to present varieties of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reativity. Teaching methods being proposed: making buchimsae by rhythms, making melody, changing jangdan, improvising based on Korean music. First, four stages are proposed as the teaching contents of buchimsae by rhythms, that is, practicing buchimsae, changing buchimsae, making buchimsae, and creating lyrics. Second, various activities in different stages about making melody are provided methods changing an original song by changing the melody of a part of some songs, and making a song in different styles with the traditional music pattern to reduce the burden about composing the song.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improvising a part of pansori and changing jangdan were added. Since Korean schools have specific gravity with decrement of native Korean music territory, the music classes of making Korean music have considerable difficulties. Also, a lack of interest of creating Korean music makes these musical approaches more difficult. To see the musical creation principle which has become accomplished but from our traditional musical inside with character and easily under approaching should have been boiled the attitude and only the sustained research musical education field, to defend our music and further our cultur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3, 4학년 국정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악 영역의 교육과정 요소와 주요 활동들을 살펴보고 국악 창작 학습이 학교 현장에서 보다 내실있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다양한 국악 창 작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통적인 우리 음악 속에 반영되어 있는 음악 창작 원리를 바탕으로 장단에 따른 붙 임새 붙이기, 가락 만들기, 장단에 변화주기, 즉흥연주의 네 가지 큰 영역으로 나누어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는데 , 붙임새 붙이기는 먼저 여러 곡을 통해 붙임새 익히기, 붙임새를 바꾸기, 새로운 노랫말에 붙임새를 붙이기, 노 랫말을 만들어 붙임새를 붙여 보기의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가락 만들기의 경우는 제재곡이나 기습곡의 일부분 에 변화 주기 활동을 통해 새로운 가락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하여 창작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자연스럽게 가락 을 지을 수 있도록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판소리 한 대목을 감상하는 활동에 즉흥 활동을 접목시켜 판소 리 대목의 노랫말의 의미를 더하는 즉흥 연주를 해 볼 수 있는 활동과 장단에 변화를 주어 곡을 바꾸어 보는 활 동도 추가하였다. 학교 현장은 국악 영역의 비중 감소로 종합적인 음악 능력을 요구하는 국악 창작 수업을 내실 있게 진행하기에 는 어려움이 많다. 또한 우리 음악에 대한 관심 부족으로 창작 수업이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우 리 음악에 내재되어 있는 창작 원리를 바탕으로 보다 쉽게 접근하고자 하는 자세와 끊임 없는 연구만이 음악 교 육 현장, 우리 음악, 나아가 우리 문화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좀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창작 수업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목차

I. 머리말
 II . 3, 4 학년 국악 영역 창작 활동 내용 분석
 III. 3, 4학년 국악 창작 지도 내용 및 지도 방안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강은하 Kang , Eun - ha. 서울 봉현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