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Korean Music of Some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U.S.A.

원문정보

Heo, Seon-Hyeo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early 1900s, the interests of culture, education, and music of immigrants have been increased in the U.S.A. Under this background, music classes in the school have been requested to serve the musical and cultural needs of immigrated students. For this reason, several scholars in music education have published various literatures 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leading scholar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orld published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to introduce an exotic music and various music curricula. The Campbell’s literatures have been seriously considered as the precedent study on the roles and method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due to their unique accomplishment and reality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following books which are relate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lso describe the methods and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as the part of East Asian Music.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literature, we examine the method for explanation of Korean music and the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U.S.A. For this research, the literature is examined by the following three standards. Firstly, we investigate the repertoires for Korean music in the books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and Western culture have influenced on Korean music and culture. For the second, the approaches which were already established for teaching Korean music are explored. Lastly, the information, notation, and illustration for Korea and Korean music in the literature are examined. We may need to consider that these materials are appropriate to represent and understand Korean music correctly.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 that the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knowledge of Korean culture are properly understood by the multicultural music textbooks which are used for teaching Korean music in the U.S.A.

한국어

20세기 초부터 미국사회는 세계 각국으로부터 몰려온 이민자들의 다양한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 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 배경은 학교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미국음악교육계에서는 유럽의 클래식 음악 일색의 제재곡 및 교육내용에서 벗어나, 다른 문화권의 다양한 음악을 음악수 업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 교재들의 동아시아 편에 소개된 한국음악제재곡과 교수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종’과 ‘아침바람’을 수록한 『Roots and Branches』,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을 수록한 『Silver Burdett Making Music Series K-12』, ‘거문고 산조’와 ‘아악(문묘제례악)’을 소개한 『Teaching Music Globally』 그리고 서양음악에 없는 개념인 한국의 장단과 구음 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 『Thinking Musically』 등 4종류의 책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위 책들에 나타난 한국음악에 관한 내용과 지도법을 다음 3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첫째, 위 제재곡들이 한국음악을 대표하는 곡으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겠다. 둘째, 이 제재곡들이 어떻게 가르쳐 지고 있는지 살펴보겠다. 셋째, 위의 책들에 실린 한국음악의 설명, 악보, 그림, 참고 자료 등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혹 오류가 있다면 시급히 고쳐서 바른 정보를 줄 수 있어야 할 것이 다. 이와 같이 본 글은 미국의 음악수업시간에 소개되고 가르쳐지는 한국음악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교수법을 적용하여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의 석학이자, 시애틀의 워싱턴 주립대학의 페트리샤 쉐한 캠벨 교수는 초기 월드 뮤직 소개서인 『Roots and Branches』라는 책에 ‘학교 종’과 ‘아침바람’과 같은 두 곡의 한국음악을 소개하고 있다. 오선보를 사용한 악보에 한국어 가사의 영어 표기와 미국학생들이 가사내 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이한 영어해석을 함께 소개하였다. ‘아침바람’에서는 노래와 ‘가위, 바위, 보’ 놀이, 그리고 신체표현을 한국음악의 특징으로 보고 지도하였고, ‘학교종’에서는 학생들이 선생님을 존경하는 한국문화의 특징과 4/4박자 리듬에 맞춰 신체표현과 리듬악기로 즉흥 연주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수법들을 적용하기 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점은 바로 그 제재곡이 가르쳐질 만한 곡인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침바람’은 홍양자의 연구에 의해, 2박자 계통의 리 듬을 사용하는 일본 동요라는 것이 밝혀졌고, ‘학교 종’ 역시 서양음악의 특징인 으뜸화음과 딸림화 음을 사용한 화성음악으로 전통적 한국음악 양식과 거리가 멀다. 1990년대 초반까지도 한국의 음악 교과서에 이런 음악들이 제재곡으로 자주 나왔으나, 현재 전통적 한국음악어법에 따른 전래동요들 이나 새로운 창작동요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 다른 문화권의 독특한 음악 과 문화를 배우기 위해 한국음악을 제재곡으로 선택한다면, 반드시 한국음악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가능한 제재곡의 선택이 무엇보다 신중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Silver Burdett Making Music Series K-12』는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등과 같은 한국음악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지도내용은 한국음악의 특징은 외면한 채, 오선보에 기보된 악보와 피 아노 반주, 그리고 벨칸토 창법의 소프라노처럼 서양음악교수법에 따라 적용되었다. 또한 ‘세마치장 단’에 맞춰 부르는 노래를 3/4박자에 기보하여 진정한 장단감을 느끼기 어려움으로 9/8로 기보된 악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 노래를 배우는 학생들이 한국의 민요가창자의 음원을 들어보고 음 원의 가락과 오선보에 기보된 가락과의 차이 그리고 그들이 이제까지 익숙했던 소리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음악이 연주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세상의 모든 음악이 같은 방식으로 연주되지 않는다는 좀 더 넓고 다양한 음악적, 문화적 식견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세 번째 음악교재는 페트리샤 쉐한 캠벨의 『Teaching Music globally』로, 이 책에서 한국음악은 거문고 산조와 문묘제례악 두 가지가 소개되고 있다. 거문고 산조에서는 독주악기 거문고와 반주악 기 장구, 그리고 산조라는 음악장르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그리고 거문고의 농현과 대점을 치는 연주법에 대한 설명 뿐 아니라, 한국음악에서 거문고의 위상이나 문화적 의미까지 설명한다. 또한 이 곡의 감상법으로 수차례 음악을 듣고 나서는 한 번에 그 음악의 특징, 즉 3분박의 장단, 농현과 같은 시김새, 우아한 선율, 장구반주 등에 하나씩 집중하여 들어보고 다시 이를 종합적으로 감상하 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 다음은 1116년 중국에서 수입된 그대로의 모습을 가지고 전래되어 12세기 아악의 연구에 귀 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 문묘제례악(“A-ak”)으로, 유교제례음악이라는 객관적, 역사적 설명들과 함께 독특한 음조직, 여음 등에 집중하며 소개되었다.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은 문묘제례악보다는 종묘 제례악에 더 큰 의미와 비중을 두고 가르치고 있어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중국의 유교 성인뿐만 아니라 조선의 위대한 선대 학자들에 대한 예와 존경을 다한 우리의 전통이 거의 잊히고 있는 실정 이다. 따라서 이 교재에서 종묘제례악보다 문묘제례악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며, 그 음악의 문화적 배경과 의미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음악은 동아시아 국가 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유교제례악으로, 서로 공유하고 있는 유교적 정서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나라에서 한국음악을 배울 때 또는 동아시아 음악의 전체적 특징을 찾을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ade가 쓴 『Thinking Musically』는 음악수업을 위한 제재곡 중심이 아니라, 다른 문화권의 음 악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본적인 음악개념에 대해 나타낸다. Wade는 흔히 한국음 악의 장단이 중동아시아 음악의 리듬선법과 비슷하다고 보는 것은 옳지 않으며, 한국음악에서 장단 은 박의 단위라기보다 한배라는 그룹단위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장단은 단 위박의 속도, 음악 반복의 단위, 긴장과 이완의 표현, 그리고 산조의 악장 등의 다양한 의미를 내포 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이 책을 통해 음악교사들이 한국음악의 핵심개념인 장단에 대해 제 대로 이해한다면, 한국음악 제재곡에서 세마치장단이나 굿거리장단을 만났을 때 그 음악을 제대로 표현하고 학생들에게 좀 더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글은 미국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재들에 나타난 한국음악 제재곡들과 교수법들 이 한국의 음악적 특징과 문화적 배경을 얼마나 잘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 서 다문화 음악교육의 제재곡으로 한국음악은 단 몇 곡 사용되었을 뿐이지만, 그 제재곡들로부터 학생들이 한국의 음악적․문화적 특징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다양한 교수법들을 적용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떤 노래의 악보는 어린 학생들을 위해 단조롭게 편곡하였고, 원곡의 느낌을 살리지 못하는 박자로 그 음악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등 여러 면에서 부족한 점도 많았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한국음악을 비롯한 다문화 음악교육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 악을 그저 펼쳐 보이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단 한 곡을 통해서라도 진정으로 그 음악의 문화적 측 면, 의미, 그리고 전승과정들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지도되길 당부하고자 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Explaining the standards for this study
 Ⅲ. Exploring the repertoires, approaches, and contents of Korean music in the textbooks
 Ⅳ. Conclusion and suggestion
 References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Heo, Seon-Hyeong Ansan Sun-il Middle School Teache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