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1 교과서의 국악 내용 고찰

원문정보

A Contents of the Music Textbook, 『Middle School Music 1』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김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ooking into the direction of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7, it emphasizes the role of music in education and its effect and pursues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contents and levels. It also attempts to establish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ational music education as well as to facilitate what is learned in school music education to be incorporated in the actual living situation.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whether the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um are thoroughly reflected in the textbook. In the following, each of the contents will be discussed. 16 types of textbooks following the revised curriculum introduce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features of the textbook from each publishing company, in which students can easily figure out what to learn and where to find it. These textbooks also enable music classes unified and integrated across various activities. In addition, differentiate from previous textbooks, the entire textbook is printed in color and contains various types of activities in stories, several puzzles, learning through pictures and the like. As previously mentioned, there are several issues to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the areas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in the revised music textbooks, 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ach music textbook published in each publishing company uses a different term for the ‘tune’ of folk songs. For example, the ‘tune’ of Gyeonggi folk songs is referred to as the ‘Gyeonggi folk song tune’, ‘Traditional Ballad Tune’, or ‘Gyeongtori’ by publisher.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unify the terminology but if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unified terminology, all the terms presented in all the music textbooks should be listed in order to reduce any potential confusability. Furthermore, the adequacy of the use of the term, ‘tune’, in Jeju folk songs should be discussed. Secondly, it is desirable that various folk songs are presented to emphasize the characteristic of each music textbook, but the activities of singing the songs need to be more conretly represented. Thirdly, the use of ‘a phrase’ in ‘sing along after listening a phase of a national music song’, and the mixed use of ‘sing in unison”” and ‘listen and sing along’ should be further discussed. Fourthly, in ‘sing along of initial phase of sijo’, where there is no uniform pitch for the yellow, the basic sound of sijo, it is required that the pitch of yellow should be presented with an uniform and accurate pitch. Instead of presenting the melody of sijo in the five line scale, it is also desirable that the feature of sijo in addition, sigimsae, length and others that may easily be learned with the regular publication, and the flow of music can easily be viewed in one view, and it is desirable to present jeongganbo which enables us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sijo including ‘butimsae’ and ‘sigimsae’ and the note of garakseon which makes it easier for us to indicate the overall flow of music and to sing along after listening to sijo sung by professional. Fifthly, in playing tune musical instruments, it is more important to introduce a selection of music which can be performed with the selected musical instruments than to make and present a selection of musical instruments. That is to say, the music textbook for the 7th graders must introduce the adequate levels of tune music 7th graders can play with tune instruments, resulting in the adequate levels of in music composition. Lastly, it is suggested to clearly state the basic concepts and the contents of the types of ‘yupa’ and ‘sanjo’ (with which instruments would be played) regarding sanjo in the textbook. Additionally, with few exceptions, most notes for length are written on the five line note, which would cause students to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complicated tune of the sanjo. Taking into account the substantial lack of description of the expression of sanjo, various ways to express the national music like the true national music should be proposed.

한국어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을 살펴보면 음악의 역할 및 음악 교육의 효과를 강조하고 교육과 정 내용의 적정화를 추구하며 국악 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함은 물론 학교 음악 교육을 통해 배운 것들을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내용을 교과서에서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지를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종 교과서들은 각 출판사마다 교과서의 특색에 맞게 단원제시가 되어 있어 각 단원에서 배워야할 내용이 무엇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활동 영역을 구분 짓지 않고 될 수 있는 한 통합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교과서 전체 가 칼라로 인쇄되어 있고 삽화와 여러 가지 퍼즐 맞추기 그림을 통한 학습 내용 정리 등 다양한 형태의 활동들이 제시되어 이 전의 교과서와는 차별화되어 보였다 그러나 앞의 본문 내용에서도 언급하였듯이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과서의 국악 관련 영역의 내용을 살펴보면 몇 가지 논의 되어야 할 것들과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각 출판사마다 제시하고 있는 민요의 조 에 대한 용어가 각기 다르게 사용되고 있음 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기민요의 조 를 경기민요조 라고 하거나 창부타령조 또는 경토리 로 출판사마다 다르게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용어를 통일하여 사용하기 어려우면 반드시 혼용되 어지는 다른 용어들도 같이 교과서에 제시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 주민요에서 조 라는 용어의 사용 여부 즉 제주민요에 조 라는 개념을 넣어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 는 논의되어야 할 여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 각 교과서 별로 특성을 살려 다양한 민요를 제시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민요 부르기의 활동 내용을 좀 더 구체화시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창작 국악곡 한 대목을 듣고 따라 부르기 에서의 한 대목 이라는 용어의 사용 여부와 제창과 듣고 따라 부르기의 용어 혼용 여부는 생각해 볼 여지가 있어 보인다 네 번째로 시조 초장 따라 부르기 에서의 교과서 내용을 살펴보면 시조의 기준음인 의 음높 이가 다르게 제시되어 있어 정확한 음높이로 통일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오 선보로 시조의 선율을 제시하는 것보다는 시조의 특징인 사설 붙임새와 시김새 장단 등을 쉽게 파 악할 수 있는 정간보와 곡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 쉬우며 전문가의 시조 소리를 듣고 따라 부를 수 있는 활동이 용이한 가락선보를 병행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다섯 번째로 가락악기 연주하기 에서 어떤 악기를 선택하여 게재할 것인가의 문제보다는 선택한 악기로 어떤 악곡을 연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야할 것이다 다시 말 하면 중학교 학년에서는 어느 정도의 악곡을 가락 악기로 연주해야 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학년에 따른 악곡의 단계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조를 교과서에 게재할 때 유파 와 산조의 종류 어떤 악기로 연주하는 산조인지 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분명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일부 장단보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 분이 오선보로 게재되어 있어 학생들이 산조의 복잡한 선율을 파악하기에 힘이 들 것이라 판단되어 지며 산조의 시김새 표현에 대한 설명이 많이 부족하므로 국악을 국악답게 표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모색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중학교 음악 1』국악 관련 내용 분석
 III. 음악과 교육과정 중 국악 내용의 교과서 반영 고찰
 I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진 Kim, Hye-Jin. 대구 화원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