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rm of Pyun in Gagok -The Relationship between a Number of Words and a Strike Number of Jangdan-
초록
영어
The teaching manual which accompanies the 2007 music curriculum explains that Pyunrak of Gagok has a Hwakdaehyungsik (an extended form). This form involves carefully adding more words than the standard number of words in the song, and is called Yeokumhyungsik (a weaving form). Generally, Pyun means Yeokum in Korean, and the Pyun[編]series of Gagok are played by 10 strikes of a 10 beat jangdan, unlike others which are played by 10 strikes of a 16‐beat jangdan. Thus, it should be played with one strike for each beat. Also, Yeokumhyungsik is composed of a set of one slow and one fast song sung with a long lyric style and closing with a slow singing of the original melody.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were difficult to find in Pyunrak. For this reason,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the number of words and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in order to identify the form which characterizes Pyunrak of Gagok.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form of the Pyun series of Gagok: Pyunrak, Pyunsudaeyeop, Unpyun, and Upyun. The study focused on Namchang Gagok Baeksun, the music book having the most songs for male singers of Gagok. This book contains six Pyunrak, and the number of the words and jangdan of the four songs, except for the Chinese verse(漢詩) and Changsa(唱詞), were examined. The analysis reveals the number of words of Pyunrak ranged from 47 to 143 and the songs had both a fixed form and a free form. Pyunrak of a fixed form(around 47 words) used a fixed strike number of 10‐beat jangdan for each chapter: 20 strikes of a 10 beat jangdan for the first chapter, 17 strikes of 10‐beat jangdan for the second and fourth chapter, 23 strikes jangdan for the third chapter, and 30 strikes jangdan for the fifth chapter. However, in cases including more than 47 words, a strike number of jangdan of only the third and fifth chapter would be augmented for covering this long lyric. If the third chapter had more words, a strike number of its 10‐beat jangdan would be augmented above the fixed 23 strikes, and in the fifth chapter, its strike number would be more than the fixed 30 strikes. In short, as the number of words increased, the number of jangdan of the third, fifth, or third and fifth chapter would be increased by the increased chapter. Consequently, since Pyunrak, one of the Pyun series of Gagok had two forms, the fixed form with around 47 words and the augmented form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words, it could not be explained that it had Hwakdaehyungsik (an extended form). To further examine the form of Pyunra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he words and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of Chosudaeyeop, Isudaeyeop, Samsudaeyeop, Nong[弄], and Nak[樂] of Gagok were analyzed. Since the series of Pyun including Pyunrak of a fixed form had five chapters and a fixed number of jangdan like Chosudaeyeop, Isudaeyeop, Samsudaeyeop, Nong, and Nak of Gagok, the six songs could be considered another form of Gagok rather than Hwakdaehyungsik (an extended form). Also, for the text part of Gagok, if the number of words increased, the lyrics of the third and fifth chapter were increased rather than the first, second, and fourth chapter. For the melody part, also,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of the same chapter were increased. These characteristics of Gagok help us understand its structure by regarding it as a genre or form by itself.
한국어
2007년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서에는 가곡 편에 속하는 편락을 확대 형식에 해당하는 악곡으로 설명하고 있다. 확대 형식은 노래의 사설을 촘촘하게 붙여 원래 곡의 사설이 길어진 형식으로 엮음 형식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편을 우리말로 엮음이라고 하는데 가곡의 편은 16박을 10점으로 연 주하는 다른 가곡의 곡들과는 달리 10박을 10점 장단으로 연주하는 점에서 1박을 1점으로 엮어서 연주하는 의미로 생각된다. 그러나 엮음 형식의 특징인 짝소리와 긴 사설을 한참 주워 엮어 나가다 가 끝에 가서 원곡을 길게 늘어 뜨려 부르며 매듭짓는 연주 형태는 찾아보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가곡의 편락 형식을 과연 확대 형식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확대 형식의 변인이 되 는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의 관련성에 대해 가곡의 기본 곡체가 되는 초수대엽과 이수대엽, 삼수대 엽, 농, 낙에 해당하는 악곡들의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와의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편에 해당하는 편락, 편수대엽, 언편, 우편의 악곡들의 형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현재 출간된 가곡보 중 가장 많은 악곡을 수록하고 있는 남창 가곡 백선 의 악곡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악보에 실려 있는 편락 악곡은 모두 6곡으로 한시(漢詩)나 창사(唱詞) 를 제외한 4곡을 대상으로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와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편락의 사설자수는 47 자에서 143자로 기본 자수 형태와 기본 자수가 벗어나는 형태인 사설이 많은 형태 두 가지가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기본 자수 형태의 악곡은 각 장의 장단 점수가 일정하게 되어 있었으며, 1장은 20점 장단, 2장과 4장은 17점 장단, 그리고 3장은 23점 장단, 5장은 30점 장단으로 고정 장단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설 자수가 많은 악곡의 경우는 사설이 많음에 따라 장단을 늘려 긴 사설 을 처리하고 있었다. 사설 자수가 3장에서 늘어나면 3장에서 사설 자수 량에 따라 기본 장단 점수 인 23점 장단에다 장단을 늘리는 변화가 생기며 5장에서 사설 자수가 늘어나면 5장에서 기본 장단 점수인 30점 장단에다 장단을 늘리는 변화가 생겨나는 것이다. 사설이 늘어나는 위치에 따라 3장 혹은 5장 아니면 3장과 5장에 장단이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가곡 편에 해당하는 편락 은 악곡 자체가 기본 사설 자수의 곡과 사설이 늘어난 두 가지 형태가 있어, 확대 형식으로만 설명 할 수 없다. 또한 초수대엽, 이수대엽, 삼수대엽, 농, 낙, 편의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와의 관계를 통하여 각 장의 장단 점수가 일정한 장단 점수로 공통적으로 구조화되어 가곡의 6곡체를 하나로 묶어서 설명 할 수 있었다. 사설의 경우 자수가 기본 자수 형태와 늘어난 자수 형태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사설이 많은 악곡의 경우 1, 2, 3, 4, 5장 전체적으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3장과 5장에서만 사설 이 늘어났다. 이것은 작시법의 정형화된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정형화된 틀 속에서 3장과 5장에 사설을 늘려 변화를 주며 음악 또한 3장, 5장에서만 늘어난 사설만큼 장단 점수를 늘려 처리하고 있음 알 수 있다. 이렇게 가곡의 1, 2, 3, 4, 5장은 기본 장단 점수와 기본 자수의 틀이 있으며, 긴 노랫말 또한 1, 2, 4장은 고정된 장단 점수 틀을 유지하면서 3장과 5장에서 기본 장단 점수에 변화를 주며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가곡은 그 자체가 장르이자 일정한 구조의 틀을 가진 형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곡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목차
Ⅱ. 본론
1. 초수대엽, 이수대엽, 삼수대엽의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
2. ‘농’과 ‘낙’의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
3. ‘편’의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 상관성을 통한 형식 고찰
Ⅲ.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