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eaching 'Honamga' in Gayageum Byoungchang
초록
영어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vised Curriculum 2007 directly expresses features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offers more detailed methods than previous versions for how to teach Korean music. The study extracts teaching stages and factors of it.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teaching stage is broken down into appreciating, learning Sori, learning Jangdan, understanding Gayageum. Gayageum Byoungchang, 'a voice together with Gayageum genre', is played by a singer who sings along with the instrumental accompaniment. Although Gayageum Byoungchang is a critical componen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t has been largely neglected in textbooks. Where included, it tends to be presented as song for appreciation only. Therefore, not only the appreciate but also the various activities with Gayageum Byoungchang, it needs a lot of studies that we can learn.
한국어
가야금 병창은 연주자가 단가와 판소리의 한 대목, 그리고 민요 등을 부르면서 스스로 가야금으로 곡조에 맞춰 반주하는 장르이다. 따라서 가야금 병창은 가창 영역과 기악 영역, 그리고 감상 영역을 통합하여, 다양한 지도요 소를 추출하여 가르칠 수 있는 좋은 제재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현행 음악교과서를 살펴보면 가야금 병창 제재곡은 모두 감상 활동에 한정하여 제시하고 있고, 가창과 기악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학습내용 및 활동에 대 한 제시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야금 병창곡 중 ‘호남가’를 선정하여 영역 간 통합적인 지도 내용을 고찰 하였다.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국악의 특징적인 요소를 직접 드러내고 있으며, 특히 교 수ㆍ학습 방법에서는 국악 지도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지도 단계와 지 도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지도 단계는 감상하기, 소리 익히기, 장단 익히기, 가야금 이해하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가야금 병창 호남가는 가야금 가락에 맞추어 부르기 때문에 반복적인 가락의 사용이 많아서, 학생들이 주제 선 율을 중심으로 악곡을 파악하기에 적절한 제재이다. 또한 사람 목소리로 노래하는 선율과 가야금으로 반주하는 선율이 주고받듯이 전개되므로 음악교과서에 적절한 지도내용이 제시 된다면 학생들이 흥미를 유발하기에도 좋 은 곡이다. 앞으로 본 연구의 논의를 토대로 호남가 이외의 단가 악곡과 관련하여서도 학년급별에 맞는 보다 다 양한 지도내용이 연구된다면 가야금 병창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제재곡으로 충실히 가르쳐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I. 교육과정 고찰 및 지도 요소 추출
III. 호남가의 지도 내용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