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Discussion of the Musical Form of Korean Music
초록
영어
In order to correctly understand the structures and features of various pieces of Korean music, it must be closely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distinguishing elements including melody, rhythm, mode and musical form. Among these, it is most critical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musical form a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musical structu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ation of form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eparate volumes on the theory of Korean music. The forms described in all of the schools' textbooks are the call and responsorial form, the gin-jajin form, and the yeoneum form. I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the first grade textbook describes the gin-jajin form and the yeoneum form; the second grade textbook, the yeokeum form; and the third grade textbook, the yeoneum form, all of which are intended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s of the pieces and performance types during music appreciation. In the high school textbook, the students learn the forms through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sections, mainly focusing on the forms of Korean folk songs. In particular, the yeoneum form is featured in the pieces included as part of appreciation. Most of the separate volumes mention the gin jajin form, the gagok form and the sijo form, the yeokeum form, the call and responsory form, the hwandu and hwanip form, the seteul form, the suite form and the yeoneum form, and name the same forms differently. Most of the above books and volumes correctly describe the concept of the form and the related pieces. But some books and volumes treat the yeoneum form as the concert music of Western music, and the hanbae, that is, the piece related to the tempo as one form on the whole. In addition, the call and responsorial form and receiving sounds are always considered the same, and a performance method of an instrument is also considered a form. In some cases, related pieces are wrongly included while the concept of the form is correctly describe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of basic mode and modified mode in the saseol buchimse and each piece, the rhythm structure and the technique of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musical form. Therefore, the books and volumes should subdivide musical forms, taking the musical structure of each piece into consideration, rather than mentioning too many types of musical forms. In addition, the concept should be described more precisely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its exact meaning.
한국어
국악의 다양한 악곡들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구조와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율과 장단ㆍ선법 ㆍ형식 등 내재되어 있는 각 요소들의 상호연관성을 면밀히 고찰할 필요성이 있다. 이중에서도 형식은 국악의 익곡구조를 파악하는 요소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그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 다.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음악교과서와 단행본으로 출간된 국악이론서에 수록되어 있는 형식의 종류 와 그 개념을 가지고 국악의 형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음악교과서 에 모두 나타나는 형식이 메기고 받는 형식과ㆍ긴 자진형식ㆍ연음형식 등이다. 중학교의 경우 음악을 감상하면서 악곡의 구조와 연주형 태 등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하여 1학년은 긴 자진형식과 연음형식, 2학년은 엮음형식, 3학년은 연음형식을 주 로 제시하였다. 고등학교는 이해와 감상영역을 통해서 형식을 이해하도록 학습하고 있으며, 주로 민요에 나타나 는 형식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연음형식은 주로 감상을 하면서 악곡 속에 내재되어 특징을 이해하는데 비중을 두었다. 대부분의 국악이론서에서는 긴 자진형식ㆍ가곡과 시조형식ㆍ엮음형식ㆍ메기고 받는 형식ㆍ환두와 환업형식ㆍ 세틀형식ㆍ모음곡형식ㆍ연음형식 등을 수록하고 있으며, 통일한 형식이라도 그 명칭을 상이하게 사용하였다. 형식의 개념에 있어서 대부분이 그 의미에 대한 이해나 해당악곡을 올바르게 기술하였다. 하지만 일부 음악교과 서와 국악이론서에서 제시한 형식의 개념에서는 연음형식을 서양의 협주 협주의 형태로 보고 있으며, 한배 즉 속도와 연관성이 있는 악곡을 모두 하나의 형식으로 광범위하게 보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메기고 받는 형 식에서 받는 소리는 항상 일정하다는 견해와 더불어 악기의 연주방법을 하나의 형식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각 형식의 개념에 대해서 그 의미는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지만, 해당악곡에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간혹 나타났다. 음악의 형식을 파악하는데 사설 붙임새의 구조ㆍ각 악곡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선율과 변형선율의 구조ㆍ장단구 조ㆍ연주방식 등의 상호연관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교과서와 국악이 론서에서 형식의 종류를 너무 광범위하게 분류하여 수록하기 보다는 각 악곡에 내재되어 있는 음악적 구조를 고 려해서 세분화 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그 개념도 보다 정확한 의미를 가지고 서술해야 한다.
목차
II. 음악교과서에 제시된 형식의 종류
III. 국악이론서에 제시된 형식의 종류
IV. 형식의 개념에 대한 고찰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