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재곡 개발을 위한 메나리조 민요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lksongs in Menari-Jo for Developing Materials

박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olksongs in Menari-Jo in music textbooks are limited to some notes, Sigimsae, Jangdan and form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which present various musical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is required. This study analyzes the folksongs in Menari-Jo in music textbooks, systematizes the musical contents, and introduces the music in a way that includ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not currently presented in the textbooks. First, its study includes not only Jangdans listed in textbooks such as Semachi, Danmori, Huimori, Jajinmori, Jungjungmori, Gutgeori, Eonmori, Jungmori, but also the other Jangdans of 4, 5, 6 or 8 beats of 2 divisions or free beats style. Second, folksongs in Menari-Jo are composed up to 6 notes including 2 and 3 notes that are not presented in textbooks. Third, the Sigimsae of folksongs in textbooks is most of the only notes, la-sol-mi, but the characteristic Sigimsae of folksongs in Menari-Jo includes the variety of Sigimsae types such as not only Toeseong, Kkeogneun Eum of mi-la, and repeating Ia-do' and re-do, but also the fast Kkeogneun Eum of la-sol-mi-sol, la-do'-re'-do', re'-do'-la-do', do'-re'-do'-la-sol, re'-do'-la. Fourth, the forms of folksongs in textbooks are mostly through-composed form, call-responsorial form, connective form and slow-fast form. The call & responsorial form in textbooks usually presents only one melody in the responsorial parts. In fact, the forms, however, consist of various patterns such as overlapped call-responsorial parts, responsorial parts with 2 voices, call-responsorial parts composed of each different Jangdans, and various responsorial parts from different responsorial melodies. Fifth, this study presents how these contents are systemized based on Jangdans and melodies of these songs, and taugh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It also recommends around ten pieces of the folksongs including thes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usical contents excerpted from these songs. This study calls for the development of more adequate materials with diverse and abundant musical contents than the several folksongs in current textbooks. This would allow students to learn and enjoy various folksongs and to appreciate their essential place in the Korean music curriculum and as a part of the larger Korean cultural identity.

한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메나리조 민요는 음악적 내용 즉 구성음과 시김새, 장단, 형식이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다 양한 음악 내용과 특징을 요소별로 드러내는 민요의 교재곡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과서의 민요를 분석하고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은 음악적 특징을 포함하여 계열화 하고 수록곡을 발췌 하였다. 첫째, 교과서에 제시된 세마치장단, 단모리장단, 휘모리장단, 자진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굿거리장단, 엇모리장단 , 중모리장단 등을 포함하여 2소박 4박 장단, 5박 장단, 6박 장단, 8박 장단, 불규칙장단, 무장단 등의 다양한 장단 형 태를 제시하였다. 둘째, 메나리조 민요의 구성음은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은 2음구성과 3음 구성을 포함하여 6음까지 제시하였다. 셋째, 교과서 민요의 시김새는 대개 라-솔-미에 한하여 나타난다. 이 외에 메나리조의 특징적인 시김새로 퇴성, 미- 라 꺾는 음, 레'-도'반복, 라-도'반복, 라-솔-미-솔, 라-도'-레'-도', 레'-도'-라-도', 도'-레'-도'-라-솔, 레'-도'-라 등을 빠르게 꺾어내는 등의 다양한 시김새 형태가 나타난다. 넷째, 교과서 민요의 형식은 대개 통절형식과 메기고 받는 형식, 엮음 형식, 긴ㆍ자진형식이 나타난다. 이 중 교과서 에 나타난 메기고 받는 형식은 받는 부분이 한 가지 가락으로 반복되는 형태 인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나타난 다. 메기는 부분과 받는 부분이 겹쳐 부르는 형태, 받는 소리가 2성부인 형태, 메기는 부분과 받는 부분이 서로 다른 장단으로 구성된 형태, 받는 부분의 가락이 몇 가지 가락유형으로 되어 있어 받는 부분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형태 등이 그것이다. 다섯째, 이러한 음악적 내용과 특징을 토대로 장단, 가락을 중심으로 각 요소별 계열화방안을 제시하고 초등과 중등 에서 변별력 있게 다루도록 통합적 계열화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이 음악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민요 10여 곡을 발췌하여 악곡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현 교과서에 제시된 여러 민요가 가진 음악적 내용에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적 내용을 덧 붙여 충분한 제재곡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민요를 배우고 즐기며, 민요가 앞으로 발전해가야 할 우리 음악의 근본 적인 소재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깨달아 정체성 있는 음악문화를 만들어 가기를 기대한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초 · 중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메나리조 민요
 III. 메나리조 민요의 계열화
 IV. 교재곡 활용을 위한 메나리조 지도 내용 연구
 V. 나오는 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경희 Park, Kyong-Hee. 수원 율전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