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제재곡의 기보체계에 대한 논의

원문정보

A Study of the Notation System of Korean Musical Pieces in Textbooks

변미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ancient times, Korean music has traditionally been transmitted through its own notation systems: Jeongganbo, Guembo, Yuljabo, and Hapjabo. Western music notation was introduc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1909~1945) along with the importation of many other aspects of Western culture. Since that time, the Western notation system has largely been used b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musicians to transmit Korean music. For example, Sanjo was written with Staff notation in the 1960s, employing three-four time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of its jangdan, which includes beat, tempo, pattern, etc. Even Jeong-ak, classical Korean music which had been transmitted by Korean traditional notation for centuries, was written in three-four time, or nine- eight time without consideration of its jangdan. These Westernized versions have remained in the music textbook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ading to the distortion of concepts of jangdan, including melody, Sigimsae, form, mode, and pitch in Korean musical pie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attention to this problem and to suggest a more appropriate notation system for understanding Korean musical pieces. This study found that the notation system used in textbooks to teach Sijo, a kind of Korean vocal music, affected both learning objectives and classroom activities. In addition, it affected the ability of teachers and learners to grasp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Sijo. The study further demonstrates the Jeongganbo, a Korean mensural notation system, more effectively helps pupils to better understand the distinctions of Sijo, matching text to melody, foam, and jangdan. Korean music can be best appreciated when the notes, modes, forms, jangdan patterns, buchmsae, and hanbae are clearly understood. If the music is written by Western staff notation, however, the beats, rhythms, rhythm patterns, modes, and solmization will be learned rather than the concepts of jangdan, modes, forms, Sigimsae in Korean musical pieces. In more general te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teaching of music through the native cultural methods in which the music was originally composed.

한국어

국악곡은 정간보, 구음보, 율자보, 합자보 등으로 기보되어 오늘에 전승되고 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서양 문화의 유입으로 우리의 음악도 오선 악보로 하나, 둘씩 나타내기 시작하여 해방 후 국악 곡은 국내외 수요층에 의하여 본 격적으로 오선악보로 기보되기 시작되었다'. 1960년대 오선으로 채보된 산조 악보에 표기된 박자는 장단 구별 없이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 모두 3/4박자로 되어 있었으며, 지금도 그 악보를 현재 고등 음악교과서에서 그대로 사용하고 있음을 찾아볼 수 있다. 심지어 국악보로 전승되어온 정악곡도 장단 박수와 관계없이 주로 3/4, 9/8 박자 표기로 기보되었다. 이렇게 기보체계의 변화에 의하여 국악곡의 장단, 가락, 시김새, 형식, 조, 음정 등이 왜곡 되어 가르쳐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악곡의 기보체계를 통하여 기보체계로 인한 문제점과 국악곡의 이해를 위해 적합한 기보체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음악 교과서에 실린 국악 제재곡 ‘시조’의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에 제시된 내용은 기보체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수자나 학습자에게 시조의 특징 파악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연구를 통해 시조의 특징인 사설 붙임새, 형식, 장단 등을 쉽게 파악하고 이해하기에 적합한 기보체계는 정간보임을 알 수 있었다. 국악곡의 이해를 위해 율명, 구성음과 조, 형식, 시김새, 장단, 장단꼴, 붙임새, 한배 등을 같이 연관지어 설명하게 된다. 그런데 악곡의 기보체계가 오선악보로 기보화 되어 있으면, 장단, 조, 형 식, 시김새, 붙임새 등의 학습보디는 먼저 박자, 리듬, 리듬꼴, 조성, 계명창 등에 학습이 우선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국악 개념의 오해와 왜곡이 생 겨나게 되는 것이다. 오선 악보로 기보된 모든 국악곡의 지도와 이해는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안고 있는 셈이 다. 그러므로 국악곡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이해하기에 적합한 기보체계로, 국악 기보체계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본다. 어떤 음악이든 그 음악 자체를 잘 이해하고 설명하려면 각각 음악을 탄생시켰던 그 문화의 어법으로 설명해야 가장 오해나 오류가 최소화 되리라 본다.

목차

I. 머리말
 II. 국악 제재곡의 기보체계
 III.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변미혜 Byun, Mi-Hye.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