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07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있어 지향해야 할 국악교육의 방향 모색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성기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usic textbooks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7th curriculum prioritize the teaching of western music first, followed by Korean music and then the music of other cultures even though the portion of each field varies by grade. Since the current social climate encourag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the portion of Korean music in music educ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n addition, a higher qual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will be demanded. Since the 2007 curriculum will soon be in practice, the present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these and other trends expected to be prominent in the near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One of the main goals articula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is for students to cultivate their musical senses, learning to independently appreciate the beauty of a variety of forms of music. Therefore, the first step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to open students' ears to receiving musical sounds. Especially in the education of the Korean music, gueum [mimicking and making the sounds of musical instruments by mouth] should be emphasized. In languages, gueum makesit easy to grasp the length and the accent of a sound because of the indicative functions that a syllable has, and in the case of melody instruments, it is possible to know the height and the tone of a sound. Another important point in setting the direction for music education is to cultivate cultural sympathy through music as our ancestors have done. Musical culture is alive when it is played and enjoyed not only by professionals and those involved in formal education, but also by children and the elderly. This will be made possiblemade only after the Korean musical culture, such as folk songs, sijo, and pansori which talk about our emotions in the musical technique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is revived. After having been largely neglected for some 100 years, appreciation for Korean culture in general and Korean music in particular, has recently been strongly revived It is now broadly acknowledged that it is important to teach appropriate Korean music pieces focusing jangdan and sigimsae in culturally appropriateways. To teach the Korean music for students to recover our musical sensitivity and to feel the beauty and the essence of our music, jeongganbo [a kind of musical notation; which can show the duration], melodic contour Notation, and gueum notation should be used. In order to correctly understand our music and to create our new culture in this age when various cultures co- exist in the same space, teachers must acquire a careful understanding of history, recognize relevant cultural values, and encourage the flow of cultures through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music education is poised to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revival of our sense of values and culture.

한국어

현재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해 쓰인 음악교과서에서는 학년별로 구성 비율에 차이는 있지만, 서양음악을 가장 비중 있게 가르치고 다음으로 국악(國樂)을 가르치며, 거기에 곁들여 다른 문화권의 음악을 가르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리 고유의 문화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현재의 사회적 분위기를 감안할 때 앞으로 국악 교육의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여겨지고 그와 더불어 국악 교육의 질에 대한 고민도 많아질 것으로 판단되는 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 적용을 앞두고 있는 지금이 바로 현재의 문제를 개선하고 음악교육이 더 나은 방 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각도로 연구하고 고민해야 할 때라고 여겨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악을 중심에 두고 음악교육의 나아갈 길을 종합적으로 모색하고 논의해 보았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09년부터는 음악적 감각이 뛰어나게 형성되도록 귀를 열어준 후 음악의 아름다 움을 스스로 깨달아 음악을 즐기는 학생들을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삼야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음악교육의 첫 단계 는 귀를 열어 소리를 받아들이는 음악적 감각을 일깨워주는 것이어야 할 텐데, 특히 국악교육에 있어서는 이를 위해 악기의 소리를 본따 만들어진 구음 교육을 반드시 해야 한다. 구음은 원래 언어에 있어서 특정 음절이 갖는 지시적 기능으로 인해 장단(長短), 세(勢)의 파악이 용이하며, 선율악기의 경우 고저(高低) 및 음색(音色)도 알 수 있다. 음악교육의 방향 설정에 있어서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예부터 우리 조상이 그러했듯이 음악을 통해 문화적 공감대 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음악교육을 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만이 아니라 누구나 즐기는 음악문화, 어린이와 늙은이가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악문화, 그리고 학교 안에서 뿐 아니라 학교 밖에서도 향유되는 음악문화가 형성 될 때 진정한 생활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우리말에 근거한 음악어법으로 우리의 정서를 담아 노래하던 민요, 시조, 판소리 등 우리의 노래문화를 되살림으로써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근래 우리가 1세기 동안 잊고 있던 우리 문화의 우수성이 증명되고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더불어 우리 음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소위 국악풍의 곡이라고 하여 교과서의 국악 제재곡으로 싣는 것은 문제가 있 다. 장단과 시김새가 제대로 된 음악이어야 그 속에 우리 열이 살아 숨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음악적 감수성을 회복하고 우리 음악의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도록 국악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단의 길고 짧음을 드러내 줄 수 있는 정간보와 가락선보, 그리고 구음보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양한 문화가 한 공간에 공존하는 이 시대에 우리 음악을 바랙l 인식하고 새로운 우리 문화를 창출해 가기 위해서 는 교사가 역사를 바로 알고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여 교육을 통해 문화의 흐름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 21세기에는 우리의 가치관과 문화를 되살릴 수 있도록 새로운 방향으로 음악교육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목차

I. 머리말
 II. ‘소리’를 받아들이는 음악적 감각 일깨우기
 III . 음악을 통해 사회문화적 공감대 형성하기
 IV. 국악을 국악답게 가르치기
 V. 역사적 맥락 속에서 가르치기
 VI.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성기련 Sung, Ki-Ryun.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