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악 제재곡 중 동일 악곡에 두 가지 장단 사용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e of Two Jangdans in a Korean Musical Piece in Textbooks

변미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one of the learning activities for teaching Korean Music to understand Jangdan necessarily. That is to say, the name of Jangdan indicated in a Korean musical piece in textbook is the first teaching contents for understanding the work. In that point we need to explain the reason why we write down two kinds of name of Jangdan for same musical piece in textbooks. In this cas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y are same types of Jangdanhyeong in spite of different names or one of them is incorre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look into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in each case by comparing Hanbae(tempo), Saseolbuchimsae(attachment of words), Jangdanhyeong in Korean musical pieces in textbooks and to clarify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piece and Jangdan. Subjects for examination are 'gyeongbokgungtaryeong', 'gunbam-taryeong', 'jajin- angataryeong', 'gungchodaenggi', 'tongyeong-gaetaryeong' which are called boggneun taryeong(jajintaryeong) jangdan or jajinmori-jangdan, and 'kwaejinachingchingnane', 'jajin- ganggangsullae', 'cheongeoyeokgi', 'gosarikkeokgi', 'dungdangae-taryeong' which are only called jajinmori jangdan in textbooks of grade 7 to 10. As a result, I founded that boggneun-taryeong(jajintaryeong) jangdan and jajinmori jangdan have same Hanbae and beats, but they have obvious difference in Saseolbuchimsae. Now, Education of Korean music is in the beginning stage.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continuously how to teach Jangdan in order to retake Korean Music as it really is, and to understand it more deeply.

한국어

국악곡을 지도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반드시 장단을 파악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교과서 제재곡에 표기된 장단명은 국악곡을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대상이다. 그런데, 교과서별로 통일 곡 에서 장단명을 다르게 표기하고 있어서,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통일 곡에서 다른 이름의 장단을 사용할 경우, 장단명만 다를 뿐 같은 장단형인지, 잘못 표기된 장단명인지에 대한의문이 제 기된다.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볶는 타령(자진 타령)과 자진모리 두 가지 장단으로 모두 설명되고 있는 ‘경복궁 타령’, ‘군밤타령’, ‘자진 방아타령’, ‘궁초댕기’, ‘통영 개타령’과 자진모 리 장단으로만 설명된 ‘쾌지나 칭칭나네’, ‘자진 강강술래’, ‘청어 엮기’, ‘고사리 꺾자’, ‘둥당애 타령’ 익곡의 한배, 사설 붙임새, 장단형 등의 비교를 통하여 각 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악곡과 장단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볶는 타령(자진타령)과 자진모리 장단은 한 배와 한 장단의 박 수는 같으나 사설 붙임새에 있어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좀 더 많은 분석 대상 악곡을 선정하지 못한 점이며 각 장단마다의 한배 기준 및 사설 붙임새에 대 한 세밀한 분석이 미흡하다고 본다. 아직까지 학교 현장의 국악교육은 시작에 불과하다. 우리음악의 참 모습을 찾고 이해하기 위해서 는 장단 교육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요구된다.

목차

I. 머리말
 II. 중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악곡의 장단 분석
 III . 한배와 장단형 및 사설 붙임새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변미혜 Byun, Mi-Hye.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