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예술교육 전문가로서 핵심역량과 미래 무용교육의 실천적 방안

원문정보

Core Capabilities for an Art Education Expert and Practical Plans for Future Dance Education

송혜순, 황명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e capabilities necessary for a dancer to have an expertise in, art education and to incorporate the capabilities along with a practical plan in order to educate professional dance educator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arts educators need core competencies in the fields of emotional cognitive, creative convergence, problem solving, humanistic, cultural educational, artistic, and healing competencies. These core skills are necessary in order to develop competence necessary for the artistic, educational and research activities of a dancer. For this purpose, a practical plan in which dancers can follow comprises steps of reflecting on the dancers who are already in the dancing world, vitalizing a sharing system amongst art educators. It also requires dance art education standard specification. and guidelines setting as well as activation of educational content and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fusion culture.

한국어

이 연구는 무용인이 예술교육자로서 지녀야할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알아보고 이를 수반하는 무용교육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과정은 문헌 및 해외 유명 예술교육자의 강좌, 좌담, 인터뷰, 사례자료를 참고하여 각국의 예술교육 현황을 살펴보았 으며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예술교육 관련 교수자 역량에 대 한 키워드로 검색 된 자료 중, 30여 편을 중심으로 무용교육자적 역량 6가지를 발췌하였고 타 분야 예술교육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예술체험 교육역량 2가지를 보완, 총 8가지 예술교육자 역량을 도출 하였다. 이를 근거로 예술교육전문가로서 역량수반을 위한 무용계의 변화와 수용 등을 토대로 다가올 미래 예술교육에 따른 무용교육자의 실천적 방안을 유추하였다. 연구결과, 예술교육자는 핵심역량을 필요로 하며 이는 감정공유적 역량, 창의융합적 역량, 문제해결적 역량, 인문학적 역량, 디지털매체활 용 역량, 문화교육적 역량, 예술기능적 역량, 치유적 역량으로 나타났다. 이 핵심역량은 무용인의 예술 활동, 교육활동, 연구 활동 역량 함양에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무용인의 실천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무용계 내부의 반성적 성찰을 갖고 무용예술교육 표준 지정 및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타 예술 교육자 간 공유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콘텐츠 활성화와 전통융복합문화의 글로벌화가 요구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예술교육의 개념 및 현황
  1. 예술교육의 개념
  2. 예술교육의 현황
 Ⅲ. 예술교육 전문가의 핵심 역량
  1. 예술교육자의 전문성
  2. 무용교육자의 핵심역량
 Ⅳ. 무용, 변화와 수용
  1. 무용, 예술교육의 상징성
  2. 무용교육자의 역할과 수용
 Ⅴ. 전문인으로서 무용교육자의 실천적 방안
  1. 무용계 내부의 반성적 성찰
  2. 무용예술교육 표준 지정 및 가이드라인 설정
  3. 교육콘텐츠 활성화 및 전통융복합문화의 글로벌화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혜순 Song, Hyesoon.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 황명자 Hwang, Myungja.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