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李仲燮의 群童畵를 中心으로한 兒童化 要素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lement of Juvenile Pictures in Lee Jung Seop’s Paintings of Children

이중섭의 군동화를 중심으로한 아동화 요소 연구

이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ee Jung Seop is known to most as the great national artist who painted the cattle, but most are unaware that he painted more children than cattle. A special exhibition of Lee Jung Seop’s works entitled, ‘The Myth of the Century Year’ held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his death in 2016. This exhibition displayed many private collection paintings that have not been seen until now; the paintings of children were especially eye-catching. His paintings of children started with the death of his first son. He painted children with a heavenly peach, the symbolic food of eternal life in Taoism, and put this representation in his son’s coffin with the hope that his son would live a happy life in heaven. It was after this tragic loss that many children started to appear in Lee Jung Seop’s works. His paintings have something more unusual in common, however: objects (like children, fish, animals, birds, crabs, trees and flowers) are all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ircle and the children are given baby faces even though they are about 10 years old. The circle composition creates a peaceful and comfortable atmosphere in the paintings and the baby faces, similar to those in traditional inlaid celadon, allude to childish innocence. The content of his painting reflects the influence of Korean folk materials and the common sentiment of the Korean people, while Lee’s intense brush lines, typical of murals in the Goguryeo Age, create a dynamic and rhythmic beauty. Lee Jung Seop expressed imagination and illusion through his children and built a distinctive inner world without restrictions, much like that of a child. While the art of children is an unconscious product of their development process, however, Lee Jung Seop’s works were created through a logical process of consciousness. Lee Jung Seop’s paintings are the works of a trailblazer in modern painting who separated himself from the popular Western art, so popular in Japan, in which modernity intersected with ethnicity. He went through the very hard times that many Koreans endured under Japanese colonialism and during the Korea War but never lost his national identity, as is evident in his paintings. While Lee could have been internationally famous like Picasso and painted much more had he been discovered by an art collector or dealer in a different period, he was unfortunately born in the wrong century, in a poor nation. He thus lived a poor life and died lonely.

한국어

우리에게 이중섭은 소를 그렸던 위대한 화가로 알려져 있지만, 그가 소보다 더 많은 아이들 그림을 그렸다는 사 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2016년 이중섭 사후 60년을 맞이하여 ‘100년의 신화전’의 개최되었는데 이 전시회 에서 그전에 볼 수 없었던 많은 개인 소장품들이 전시되었고 특히 많은 군동화들이 눈길을 끌었다. 그의 군동화 는 첫 아들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아들이 하늘에서 행복한 삶을 살라는 기원으로 아들의 관에 아이들 과 도교에서의 영원한 삶의 상징인 복숭아 그림을 그려서 넣어 주었다. 이후부터 그의 작품 속에는 많은 어린이 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의 군동화들에는 특이한 특징이 있는데 10살 정도로 추정되는 아이들의 모습은 모두 아기의 얼굴로 표현되며 이 아이들과 그림 속 개체들(어린이, 물고기, 동물, 새, 게, 나무, 꽃)은 모두 서로 연결되 어 있다. 이러한 원형 구도는 평화롭고 편안한 분위를 주고 있으며, 아이들의 모습은 전통적인 상감 청자속에 있 는 동자상과 유사한 모습이다. 그는 군동화 작품 속에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정서를 반영하고 전통 기법을 사 용하며 고구려의 벽화의 역동적인 선들을 본따서 그만의 아름다움을 창조하였다. 또한 이중섭의 군동화는 어린 이의 상상력과 환상을 표현하며 아이들처럼 특별한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아동화는 아이들의 발달과정 을 반영하는 무의식적인 산물이지만, 중섭의 작품은 의식의 논리적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다. 이중섭의 작품들은 일본에서 주류를 이루던 서양 미술 사조속에서 현대적인 모더니즘과 민족성이 공존하는 미술을 추구하고 있다. 그는 일제 식민 치하, 한국전쟁 등 힘든 시기를 살았지만 그는 작품속에서 민족적 자긍심을 잃지 않았다. 이중섭 이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기가 아닌 다른 시대에 살면서 활동했다면 아트 딜러나 미술 수집가의 후원을 받았 을 것이고 어쩌면 피카소처럼 국제적으로 유명해졌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불행하게도 어려운 시대의 가난한 나라에서 태어나서 고생하다 외롭게 죽었다. 이중섭은 비록 살아있는 동안 그의 진정한 작품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지만 군동화속에서 보여주는 그의 순수함과 상상력의 위대함은 그가 한국을 대표하는 예술가임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 목적
 Ⅱ. 이중섭의 군동화
  1. 군동화의 정의 및 기원
  2. 이중섭 군동화의 배경
  3. 이중섭 군동화의 내용과 표현 특징
  4. 이중섭 군동화의 아동화적 요소와 표현 특성
  5. 군동화의 조형적 특징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혜정 Lee Hye Jung.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조형예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