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30년대 <숙영낭자전>의 창극화 도정 연구 - 1937년 2월 조선성악연구회의 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geolization of Sugyeongnangjajeon in the 1930's - Focusing on the Performances of Choseon folkmusic theater(Choseonseongakyeonguhoe) in February 1937 -

김남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oseon folk music theater(Choseonseongakyeonguhoe) performed Sugyeongnangjajeon in the form of Changguek in February 1937. Sugyeongnangjajeon was a popular work in classical novels, but it was not widely known as a Pansori style. However, Choseon folk music theater challenged the Changguek performance of this work and experienced some notabl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in the process. The primary reason for this performance was that Jung Jeongryeol and Park Rokju were accustomed to the pansori vocals of Sugyeongnangjajeon and the content of Sugyeongnangjajeon implies motives and events that contemporary audiences would prefer.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converting Sugyeongnangjajeon into Changguek form was easy, and in terms of acceptance of works, Sugyeongnangjajeon was quite attractive. Moreover, Choseon folk music theater had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repertoire of Story of Chun-Hyang(Chunhyangjeon), Story of Simcheong and Story of Heungbu. And after that, Choseon folk music theater had to develop and disseminate a new repertoire as a substitute for this original repertoire. However, as a result, the conversion of Sugyeongnangjajeon into Changguek form did not succe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ansori Sugyeongnangjajeon(script and recor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lassic novel Sugyeongnangjajeon were related to the related production of Dongyang theate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reality of Sugyeongnangjajeon as Changguek form, its characteristics, and the causes of success and failure.

한국어

조선성악연구회는 1937년 2월 <숙영낭자전>의 창극 공연을 시행했다. <숙영낭자전>은 고전소설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작품임에는 틀림없었으나, 판소리 가창으로 널리 알려진 작품은 아니었다. 하지만 조선성악연구회는 이 작품의 창극 공연에 도전했고, 그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몇 가지 성과와 한계를 경험했다. 일단 이 작품을 공연하게 된 일차적인 계기는 정정렬과 박록주가 <숙영낭자전>의 판소리 가창에 익숙했고, 그 내용이 당대의 관객이 선호할 만한 사건과 모티프를 함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공연 제작의 입장에서도 <숙영낭자전>의 창극화 과정은 수월한 측면이 있었고, 작품 수용의 측면에서도 <숙영낭자전>의 관극 매력은 상당한 수준이었다. 더구나 조선성악연구회는 <춘향전>, <심청전>, <흥보전>이라는 전래의 레퍼토리에서 벗어나 신작 레퍼토리를 개발 보급해야 할 입장이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볼 때, <숙영낭자전>의 창극화 작업은 별다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판소리 <숙영낭자전>(창본과 녹음)을 바탕으로 하고, 고전소설 <숙영낭자전>에 대한 연구 성과와 동양극장 관련 제작 정황을 결부하여 창극 <숙영낭자전>의 실체와 그 특성 그리고 성패의 원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조선성악연구회 <숙영낭자전>의 탄생과 창작 배경
 2. <숙영낭자전> 창극 대본의 구성 모티프와 관극 효과
 3. 공연 요건으로 본 <숙영낭자전>의 취택/제작 이유
 4. <숙영낭자전>의 창극화 도정과 그 미학적 성패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남석 Kim, Nam-seok. 부경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