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수신사 및 조사시찰단 기록의 다양한 면모 탐색을 위하여

1881년 조사시찰단의 보고서 작성 방식과 그 의미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port Preparation Method and the Meaning of in the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in 1881

윤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was intended for a exami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reports submitted by the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in 1881 to King Kojong. The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was charged with an unofficial mission as a special envoy called a secret emissary, and their inspection and search results were based on concrete and practical data in addition to the limited and selectiv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official diplomatic activities. It was produced as a report. Also, between the second Susinsa’s envoy in 1880 and the third Susinsa’s envoy in 1881, their’s envoy was an independent Envoy Group, fulfilled mission and at the same time achieved the goal of complementing the Susinsa’s Envoy. The report of the A has achieved it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The record of the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is mostly written in the form of a modern character compared to the record Tonshinsa’s Envoy(Korean Envoy to Japan in Choson Dynasty) in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and the record Susinsa’s Envoy in 1876 and 1880. If the records of the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are divided into Knowledge incident record type and Inspection record type, it becomes clear why they have written 'report' as their performance as a special envoy. The report was written to be submitted to Kojong who ordered the meandering. In this thesis, a special position of a mission called the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data they left as a report were examined based on the tradition and variation of records, and the terms used in the report. This allows specific features such as Reflecting on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e sense of purpose was special,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 describe it in concrete and substantive content, the contents of the report were either ‘채록(採錄)’ or ‘전재(轉載)’ among other materials, and many modern terms are used to be found.

한국어

본고는 1881년 조사시찰단이 작성하여 고종에게 제출한 보고서의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시찰단은 암행어사라는 특명사신으로서의 직분으로 비공식 사행에 임했고, 그들의 시찰과 물정탐색(物情探索) 결과는 공식적인 외교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제한적이고 선별된 정보 외에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보고서로 생산되었다. 또, 1880년 2차 수신사행(3월23일 임명)과 1881년 3차 수신사행(윤7월7일 임명) 사이에 이루어진 이들의 사행은 독립적인 사절단으로서의 소임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수신사행의 보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였고, 조사시찰단의 보고서는 그 결과물로서의 특징을 확보하고 있다. 조사시찰단의 사행 기록은 15세기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행해진 통신사행, 그리고 1876년과 1880년의 수신사행 기록물과 비교하여 근대적인 성격의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한 것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다. 사행과 그 보고의 명령자인 고종에게 올리기 위해 작성한 조사시찰단의 기록물을 문견사건류 보고서와 시찰기류 보고서로 구분하여 보면, 그들이 특사로서 수행한 성과를 보고서로 작성한 이유가 더욱 분명해지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조사시찰단이라는 사절단의 특별한 입장과 더불어 그들이 복명서(復命書)로 남긴 자료의 특징 및 의미에 대해 사행록의 전통과 변이, 그리고 보고서에 사용한 용어 등을 근거로 접근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조사시찰단의 보고서가 당시 상황을 반영하여 그 목적의식이 남달랐다는 점,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내용으로 서술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점, 보고서의 내용이 기존 자료를 취사선택하여 채록(採錄) 내지는 전재한 것이었다는 점, 그리고 근대적인 용어가 다수 사용되었다는 점 등의 구체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문견사건류 보고서의 전통과 변이
 3. 시찰기류 보고서의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현숙 Youn, Hyun-sook.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