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ㆍ내외 기준개선을 통한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피해경감 대책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measures for the mitigation of fire damage in Korea super high-rise build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domestic∙foreign standards

Jaesun K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iform laws and regulations and reasonable design i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possible fire in super high-rise building.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super high-rise and massive building-related architectural reviewㆍperformance-based design (PBD) evaluationㆍdisaster impact assessment (DIA), and provided fire engineering measures for improving fire prevention on the basis of performance-based design by analyzing the buildings subject to these systems and problems in terms of contents. Above all, in the aspect of law and standard improvement, first, with regard to dual parts of two statutes though significant portion of them has the same contents in performance-based design (PBD) evaluation and disaster impact assessment (DIA),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systems after making them conform with each other and consolidating or abolishing them. Second, if it is impossible to consolidate or abolish performance-based design (PBD) evaluation and disaster impact assessment (DIA), the areas of contents of performance-based design (PBD) evaluation and disaster impact assessment (DIA) should be precisely classified and established. Next, engineering improvement measures against fire hazard in super high-rise building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rovisions of straight-run stairs in special escape stairs. And in case of installing a mechanical smoke exhaust system instead of smoke vent, sandwich pressurization used in the United Stated should be permitted. Second, with regard to smoke control system for special escape stair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ecessity for revising the standards in order to enable air to be supplied according to section in case of fire, carrying out performance-based design, and the like from the early design stages to the completion stag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n epoch-making contribution will be made to a decrease in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due to fire in case of super high-rise building where the results can be reflected after carrying out a study on maintenance and carrying out an additional study on other considerations of super high-rise building together with reflecting the improvement measures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study.

한국어

초고층 건축물의 발생 가능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일된 법 규정과 합리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고층 및 대형 건축물관련 건축심의ㆍ성능위주설계(PBD)평가ㆍ재해영향평가(DIA)를 중심으로 이 제도의 대상이 되는 건축물과 그 내용상의 문제를 분석하여 성능위주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화재 공학적 화재예방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법 기준개선측면에서는 첫째 성능위주설계(PBD)평가와 재해영향평가 등에 있어서 상당부분이 동일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법령으로 이원화된 부분은 일치 시키고 통폐합해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성능위주설계(PBD)평가와 재해영향평가(DIA)의 통폐합이 불가능하다면, 성능위주설계(PBD)평가와 재해영향평가(DIA)의 내용의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어 정립되어야 한다. 다음 초고층 건축물의 공학적 화재위험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NFPA 규정대로 첫째 특별 피난 계단에서 직통계단의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배연창 대신 기계식 배연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미국에서 사용하는 샌드위치 가압방식(Sandwich Pressurization) 허용하고, 둘째 특별 피난계단용 제연설비는 화재시 구간별로 급기 할 수 있도록 기준의 개정 및 설계초기 단계부터 준공까지 성능위주설계 진행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상의 연구에서 도출한 개선책 반영과 함께 초고층 건축물의 대한 또 다른 고려사항들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또한 유지관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그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 초고층 건축물이라면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줄이는데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본론
  2.1 초고층 건물의 개요
  2.2 국내ㆍ외 초고층 건물의 현황
  2.3 초고층 건물의 화재 통계 분석
  2.4 초고층 건축물 관계자들에 대한 화재위험도 인식 설문조사
 3. 초고층 및 대형 건축물의 국내기준 및 NFPA에 따른 화재 공학적 위험성
  3.1 피난 및 소방시설의 문제점
  3.2 피난공간 설치 미비
 4. 초고층 및 대형 건축물의 국내기준 및 NFPA에 따른 화재피해경감 개선방안
  4.1 연돌효과의 억제방안
  4.2 피난용 엘리베이터의 활용
  4.3 샌드위치 가압방안 활용
  4.4 피난 안전구역의 배치 및 특별안전계단
  4.5 성능위주설계의 적용 강화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Jaesun Ko 고재선. Dept. of Fire fighting Safety Management, Howon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