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gender discrimination at work among women police officers in Korea. Using latent class analysis, different types of gender discrimination at work among women police officers are examined and classified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For the analysis, data from 2014 report from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is utilized, ‘survey on gender discrimination at work among women officers in police, fire, and correction’. Data on 524 women police officers’ were analyzed. This reveals different types of women police officer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with gender discrimination at work: (1)experiencing no gender discrimination at work, (2)experiencing gender discrimination on job displacement and promotion, and (3)experiencing almost all types of discriminations at work such as promotion, job displacement, training, evaluation, except payment. Factors affecting on the classification of experiences of gender discrimination are also analyzed, treating the category of ‘experiencing no gender discrimination at work’ as a reference. In addition to women police offic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related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important. In particular, the degree of work-family balance and evaluation on the effort to develop the capability of female police officers of their department’s are important.
한국어
이 연구는 여성 경찰관의 성차별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직 내에서 여성 경찰관이 경험하는 성차별의 세부 유형을 실증적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유 형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경찰관들의 조직 내 성차별 경험이 일률적이기 보다는 업무배치, 훈련 및 교육, 승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구 분되는 유형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를 시 도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국가인권위원회의 2014년 인권상황실태조사 ‘경찰·소방· 교정직 여성공무원 성차별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를 활용하였고 이 가운데 여성경찰관 524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경찰관의 조직 내 성차별 경험유형은 ‘성차별 경험이 없는 집단’, ‘승진과 배치 차별을 경험한 집단’, ‘임금을 제외한 거의 모 든 부문에서 차별을 경험한 집단’의 세 유형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차별 경험이 없는 집단’을 기준으로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일-가정 불균형 정도와 경 찰조직의 여성역량 개발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가 일관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경찰관의 성차별 경험에는 개인적 특성 외에도 가정적 특성과 조직문화적 특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I. 서론
II. 배경적 논의
III. 연구 문제와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