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시 비시가화지역 개발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건축개발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Status of Non-urbanized area in Jeju city - Focused on Architectural Development -

이성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non-urbanized area development in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relatively larger natural green area and management area than other regions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pressure for development is relatively high in Jeju. This study finds that the number of building permits issued by Jeju city is higher in Dong areas, while the number of construction reports is higher in Eup-Myeon areas. The reason is that the size of buildings is smaller in municipal (Dong) area than in rural (Eup-Myeon) area or the regulation became relaxed in non-urban areas. Therefore, Jeju government needs to reconsider the construction regulations for non-urban areas.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 frequency of buildings construction in non-urban areas was 2.7 times higher than urban areas. Because the urbanization areas have more residential areas but the non-urban areas have more natural greenery areas and planned management areas, a growth management plan should be introduced to the non-urbanized areas. In addition, apartment houses are mostly located in the residential development and urban development project area, while many houses are constructed in Eup-Myeon areas. The reason is that most immigrants into Jeju have settled in Eup-Myeon areas. To improve their settlement environment, various infrastructures need to be supplied in those area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시 비시가화지역 개발실태 분석에 있다. 첫째, 제주도는 전국에 비해 자연녹지지역과 관리지역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이 지역에 대한 개발압력이 높다. 둘째, 제주시 건축허가와 건축신고 분석 결과, 건축허가는 동지역이 높았으며, 건축신고는 읍·면지역이 높았다. 이유는 읍면지역 건축규모가 동지역에 비해 작거나, 비도시지역 규제가 도시지역에 비해 완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도시지역에 대한 건축규제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시가화지역과 비시가화지역 비교분석에서 비시가화지역이 시가화지역에 비해 건축행위가 2.7배 높았다. 그리고 용도지역별 비교분석에서 시가화지역은 주거지역이 높으나, 비시가화지역이 자연녹지지역과 계획관리지역이 높다. 따라서 비시가화지역에 대한 성장관리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넷째, 공동주택은 택지개발 및 도시개발사업 지역에서 많았으며, 단독주택은 읍면지역에서 많이 공급되고 있다. 이는 제주로 유입되는 이주민이 주로 읍면지역에서 많이 살고 있으며, 이들의 정주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인프라 공급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 및 선행연구검토
  2.1 비시가화 지역 개념
  2.2 선행연구 검토
 3. 제주시 개발행위 분석
  3.1 제주시 용도지역별 면적 비율
  3.2 제주시 개발행위허가 분석
  3.3. 제주시 읍·면·동별 건축물의 건축행위 분석
 4. 제주시 시가화지역 및 비시가화지역 건축행위 비교 분석
  4.1 건축행위 건수 분석
  4.2 건축행위 비교 분석
  4.3 용도지역별 비교 분석
 5. 비시가화지역 주용도, 공동주택, 단독주택 분포 분석
  5.1 비시가화지역 주용도 분석
  5.2 공동주택 분포 분석
  5.3 단독주택 분포 분석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성호 Lee, Seong-Ho. 제주관광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건축학박사 (도시계획학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