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Convergence Analysis of the Ethnographic Method for Doctoral Dissertations in Korea : Focused on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Trustworthiness Criteria

원문정보

국내 박사학위 논문의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에 대한 융복합적 분석 - 연구 참여자, 자료 수집방법, 신뢰성 준거를 중심으로 -

Ho-young Oh, Hong-Joong Ch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thnography is concerned about specifically-based behavior and belief and the learned pattern of language and aims to describe and interpret them. Therefore, it is a classical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was developed by anthropologists who spent for long time in conducting fieldworks within the cultural group. The results of analyzing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in data collection methods was 1-10(32 dissertations, 44.4%), 11-20(18, 25%), 21-30(13, 18.1%), 31-40(2, 2.7%), and others(7, 9.8%). Second,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in-depth interview(71, 98.6%), participant observation(70, 97.2%), document data(38, 52.7%), engineering device(12, 16.6%), and others(8, 11.1%). Data collection periods were 3-5 months(7 dissertation, 9.8%), 6-8 months(15, 20.8%), 9-11 months(14, 19.6%), 12-14 months(13, 18.1%), more than 15 months(17, 23.6%), and unpresented(4, 5.4%). Third, trustworthiness criteria were triangulation(46 dissertation, 63.9%), research participants’ evaluation of study results 44(61.1%), peer researchers’ advice and indication(33, 45.8%), follow-up(25, 34.7%), use of reference(20, 27.8%), reflexive subjectivity(17, 23.6%), intensive observation for a sufficient period(10, 13.9%), in-depth description(7, 9.8%), and others(7, 9.8%).

한국어

문화기술지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사용한 박사학위 논문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문화기술지는 연구 대상이 되는 집단의 행동과 신념 및 학습된 언어의 패턴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기술하고,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화기술지는 문화적 집단 내에서 현장연구 를 수행하는 인류학자들에 의해서 발전된 질적 연구의 고전적 형태의 하나이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 수는 10명 이내 32편(44.4%), 11-20명 18편(25%), 21-30명 13편(18.1%), 31-40명 2편(2.7%), 기타 7편(9.8%)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료수집 방법은 심층면접 71편(98.6%), 참여관찰 70편(97.2%), 문서자료 38편 (52.7%) 공학적 도구 12편(16.6%) 기타 8편(11.1%)으로 나타났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3-5개월 7편(9.8%), 6-8개 월 15편(20.8%), 9-11개월 14편(19.6%), 12-14개월 13편(18.1%), 15개월 이상 17편(23.6%), 미 제시 4편(5.4%)으 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성 준거 제시 방법은 트라이앵귤레이션 46편(63.9%), 연구 참여자에 의한 연구 결과의 평가 작업 44편(61.1%), 동료 연구자의 조언과 지적 33편(45.8%), 추적 감사 25편(34.7%), 참조 자료의 사용 20편 (27.8%), 반성적 주관성 17편(23.6%), 충분한 기간 집중적인 관찰 10편(13.9%), 심층적 기술 7편(9.8%), 기타 7편 (9.8%)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국내 박사학위 논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화기술지 연구방법, 즉 참여자 수, 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신뢰성 준거 방법 등은 매우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요약
 Ⅰ. Introduction
  1.1 Needs of study
  1.2 Research questions
 Ⅱ. Methodology
  2.1 Analysis object
  2.2 Description and criteria of analysis
 Ⅲ. Study Results
  3.1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3.2 The analysis of methods and periods of data collection
  3.3 Trustworthiness criteria
 Ⅳ. Summary and Discus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Ho-young Oh 오호영. Dept. of Special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Hong-Joong Cho 조홍중. Dept. of Special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