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 유형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과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의도의 융합적 연구

원문정보

A Convergence Study of Cervical Cancer Knowledge and Cervical Cancer Preventing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Cervical Cancer Preventing Behavior Type among Unmarried Women

임영숙, 조해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convergence study i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its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in unmarried women. 216 women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SPSS program. In result, human papilomavirus vaccination was performed in 33.9%, pap test was performed in 7.9%. The human papilomavirus vaccination and pap test group were 6.7% and human papilomavirus vaccination or pap test group were 28.5%. According to the cervical cancer prevention activities, several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the family history of cervical cancer, subjective norms of cervical cancer preven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susceptibility of the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in unmarried women, and it is important for the health professionals to perform the most meaningful support system preventing cervical cancer in unmarried women. In addition, various policies should be actively promoted that unmarried women participate in the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activel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과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의도 를 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21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SPSS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혼여성의 33.9%가 HPV 예방접종을 시행하였고 7.9%가 Pap test를 시행 하였다. Pap test와 HPV 예방접종을 모두 시행한 그룹은 6.7%, Pap test 또는 HPV 예방접종을 시행한 그룹은 28.5%이었다.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따라 자궁경부암 가족력, 자궁경부암 예방행위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행위의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 하며,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 건강 전문가가 가장 의미 있는 지원시스템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미혼 여성이 자궁경부암 예방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지원 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 방법
  2.5 자료 분석 방법
  2.6 윤리적 고려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2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지식
  3.3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 유형에 따른일반적 특성, 자궁경부암 지식, 자궁경부암예방행위 의도의 차이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임영숙 Youngsook Lim.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 조해련 Haeryun Cho.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