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seudonym Management in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원문정보

자율주행환경에서 가명성 관리

Hong Jin Keu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describe certificate policy and characteristics in cooperation condition with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and autonomous driving vehicle. Among the authentication functions of the vehicle, there is a pseudonym authentication function. This pseudonymity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privacy of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vehicle driver, passenger or vehic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seudonym certificate is to be used for reporting on BSM authentication or misbehavior. However, this pseudonym certificate is used in the OBE of the vehicle and does not have a cryptographic key. In this paper, we consider a method for managing a pseudonym authentication function, which is a key feature of the pseudonym certificate, such as location privacy protection, pseudonym function, disposition of linkage value or CRL, request shuffling processing by registry, butterfly key processing, The authentication policy and its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in detail. In connection with the management of pseudonymes of the vehicle, the attacker must record the BSM transmission and trace the driver or vehicle. In this res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tributing.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협업 지능형교통시스템과 연동되는 자율주행 차량과 연동되는 환경에서 인증서 정책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차량의 인증 기능가운데는 가명 인증기능이 있다. 이 가명성은 차량 운전자, 승객이나 차량을 식별하는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가명인증서의 사용 목적은 BSM 인증이나 오 동작에 대한 리포팅을 위해 사용한다. 그런데 이 가명 인증서는 차량의 OBE에서 사용되며 암호 키는 없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가명인증서의 주요 기능인 위치 개인정보 보호나 가명기능, 그리고 링키지 값이나 CRL의 폐기 처리, 등록 기관에서 요청 셔플링 처리, 버터플라이 키 처리 등을 살펴보면서, 동시에 가명인증 기능 관리를 위한 제반 인증정책과 그 특성들을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차량의 가명관리와 관련하여 공격자는 BSM 전송을 기록하여 운전자나 차량의 추적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연결 해제 기능을 부여해야 한다. 이러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duction
 2. Related Research
 3. Pseudonym Management of Vehicle
  3.1 Certificate Policy for Certificate Management
  3.2 Characteristics of Certificate Authority
  3.3 Certificate Period
 4.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Hong Jin Keun 홍진근. Divi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aekseok University, South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