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조선의 ‘탈중화’와 지역의식의 재구성 - 『독립신문』의 논설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De-sinocentralism’of modern Chosun and reorganization of local consciousness

김수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876, when Chosun was opened by Japan. It was revealed that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had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Chosun-Qing Relation, Tributary and Investiture. Japan tried to make it clear that Chosun was independent country from Qing by using a word ‘independent state’ at the Chosun-Japan Treaty. Chosun wanted to maintain a ’formal’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Qing, but was able to use its own independent diplomacy . But Qing tried to actualize that Chosun was Qing’s subject country. However, this unclear relationship ended with when Japan won and Qing lost at the Sino-Japanese War. And in 1899, by the Korean empire and Qing signing at the Korea-Qing Commercial Treaty, de-sinocentralism were composed at the political meaning and medieval regional consciousness. The intellectuals developed the moves that the movement to de-sinocetralism in terms of culture and consciousness. Based o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Qing style was rejected and denied almost without exceptions. Furthermore the China’s things were thought as barbaric. Also they seemed attitude that they denies with the confucianism too. Especially The Independent become equaled Qing same with barbarism that is insufficient civilization which Western has, and foolishness, dirty, and lack of interest for country. The reason why the intellectuals of Chosun made Qing as the barbarian country was they thought that del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ing which blocked the Chosun’s independence traditionally would announce that Chosun is independent country and make Chosun rich and strong. It was for showing that China was no longer the center of the culture anymore and it was just a local like other countries in East Asia. And in the process, it was defined the role of the Chosun state in that it should stand as an independent country.

한국어

1876년 조선이 일본에 의해 개항하면서 한중일 3국은 조선과 청의 전통적인 조공, 책봉관계, 그리고 자주 개념을 서로 다르게 이해, 해석하고 있었음이 드러났다. 일본은 조일수호조약을 체결하면서 사용한 ‘자주국’이라는 용어를 통해 조선이 중국에 대해 자주, 독립국임을 분명히 하려고 하였다. 조선은 중국의 속방(屬邦)이나 내치외교는 자주(自主)라고 하는 ‘형식적인’ 종속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조선이 자국의 속국임을 실제화하려 했다. 이와같이 선명하지 않은 관계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청나라가 패하면서 종결되었다. 그리고 1899년 대한제국이 중국과 한청통상조약을 체결하면서 정치적 의미와 중세적 지역의식에서 조선은 중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당시 개화 지식인들은 탈중화의 주요한 방법으로 문명담론을 활용하였다. 문명담론에 의거해 중국적인 것은 거의 예외없이 배격, 부정되었다. 중국의 것이 야만적인으로 규정되었기 때문이다. 유교문명 자체에 대해서도 회의하고 부정하는 태도를 보였다. 특히『독립신문』은 중국을 서양이 갖추고 있는 문명의 양상들이 모두 결여된 어리석고, 천하고, 더러우며 나라를 위하는 마음이 없는, 미개화 혹은 야만과 동격화 하였다. 중국은 더 이상 문화의 중심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지역’의 하나가 되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중국을 주변국으로 간주하면서도 동양의 방어를 위해서는 조선과 중국, 일본이 연대하여야 한다는 지역연대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대의식은 자연스럽게 서양과 대별되는 아시아 지역공동체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이것은 조선의 위치를 독립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동시에 자국의 역할을 규정한 것이기도 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개항 후 조청간의 자주ㆍ속방 관계 재고
 Ⅲ. 문명과 야만의 재배치와 탈중화 의식
 Ⅳ. 청일전쟁 이후 지역의식의 변화
 Ⅴ.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자 Kim, Soo Ja.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