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무용공연관람 선택요인 및 유형분석

원문정보

Selection Factors and Type analysis of watching Contemporary Dance Performance

정지민, 김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erformance consumption patterns by analyzing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selection fact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about the modern dance. Therefore, we looked at detailed aspect of the consumption patterns that are missing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ed by using representative Q-method as the subjectivity study in order to supplement those fac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these processing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factors of contemporary dance performances were finally classified into five types. The first type is 'inspiration pursuing artist type through experience of diversity'(N=16)', The second type is performances experiencing type based on acquaintance (N=11)’, The third type is Dancer's ability-pursuing type (N=6)’, The fourth type is performance beginner type with intellectual curiosity(N=2), The fifth type is performances experiencing type through the promotion (N=5).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gradual and sustainable marketing method by presenting the selection factors of performa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grasping the paths of performances of public performance watchers . Thi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ng the dance performance market by deriving the popularity and appropriate consensus without fading the essence of modern dance as a fine art.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무용 관람에 대한 일반인 관람객들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연선택요인의 주관 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공연소비패턴에 대한 상세한 관점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주관성 연구로 대표적인 Q 방법론 (Q-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유형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대무용 공연선택요인은 최종적으로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제 1유형’은 다양성경험을 통한 영감추구 아티스트형(N=16)', '제 2유형‘은 ’지인출연이나 권유를 통한 공연경험형(N=11)', '제 3유형‘은 ’무용가의 능력추구 형(N=6)', '제 4유형‘은 ’지적호기심을 가진 공연입문자형(N=2)', '제 5유형‘은 홍보를 통한 공연경험형(N=5)’ 으로 유의미하게 분류되었다. 이상과 같이 도출된 결과는 실제 공연장을 방문하는 일반인 공연관람객의 공연관람경로 파악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공연선택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마케팅 방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제한점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연구 결과
  1. Q 유형별 분석
  2. Q 유형별 유사점 및 차이점
  3. 각 유형별 차이점
 논의 및 결과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지민 Jeong Ji-Min. 단국대학교
  • 김혜정 Kim Hye-Jung. 단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