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베이비부머세대의 유형별 삶의 만족 영향 요인

원문정보

Influential Factor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ypes of Baby Boomer Generation

이형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ultidimensional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ife by type of baby boomer gene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95 households who were born from 1955 to 1963 among the respondents in the Korea welfare panel (the 10th year). The baby boomer generation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such as gender, income status, male and female as socioeconomic status. The male type Ⅳ (B=.074, t=1.992, p<.05), health status (B=.233, t=7.268, p<.001), household income (B=.174, t=4.476, p<.001), depression (B=‐.182, t=‐5.242, p<.001), self‐esteem (B=.255, t=7.027, p<.001), trust (B=.064, t=2.036, p<.05), etc.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ale baby boomer generation. The female type Ⅳ (B=.100, t=2.598, p<.05), health status (B=.239, t=6.790, p<.001) (P<.001), depression (B=‐.181, t=‐5.142, p<.001), and self‐esteem (B=.320, t=8.600, p<.001), etc.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female baby boomer gener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의 유형별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다차원적 요인을 규명하자고 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복지패널(10차년도) 응답자 중 1955년부터 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세대 가구주 1,895명이었다. 베이비부머세대 를 유형화하는데 활용한 기준은 성(gender), 소득지위, 종사상 지위로 남성과 여성 각각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남성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대해 남성Ⅳ유형(B=.074, t=1.992, p<.05), 건강상태(B=.233, t=7.268, p<.001), 가구소 득(B=.174, t=4.476, p<.001), 우울(B=-.182, t=-5.242, p<.001), 자아존중감(B=.255, t=7.027, p<.001), 신뢰 (B=.064, t=2.036, p<.05)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성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대해 여 성Ⅳ유형(B=.100, t=2.598, p<.05), 건강상태(B=.239, t=6.790, p<.001), 우울(B=-.181, t=-5.142, p<.001), 자아존중 감(B=.320, t=8.600, p<.001)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대상 및 유형화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유형별 분포
  3.2 연구대상자의 유형별 인구학적 특성
  3.3 연구대상자의 유형별 경제적 특성
  3.4 연구대상자의 유형별 심리적 특성
  3.5 연구대상자의 유형별 사회적 특성
  3.6 유형별 삶의 만족 차이 분석 결과
  3.7 상관관계 분석 결과
  3.8 성별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 영향 요인
 4. 결론 및 논의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이형하 Hyoung-Ha Lee.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