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총인제거를 위한 Dual Hydrocyclone 고도처리공정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Dual Hydrocyclone Advanced Treatment Process for Total Phosphorus Removal

이명진, 양승호, 송대현, 이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inistry of Environment significantly from 2012, the public of the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station in total phosphorus(TP) existing 2.0 mg/L to entry in the 0.2 mg/L or less separated into four regions to 2.0 mg/L or less. Accordingly, in order to satisfy the water quality standard of discharged water, various examination of the total phosphorus treatment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 is needed. In this study, developed a dual hydrocyclone advanced treatment process to enhanced the flocculation process and to remove TP efficien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the TP by the pilot plant, the concentration of treated water was 0.07~0.16 mg/L(mean 0.10 mg/L) and could be satisfied the concentration range of 0.2 mg/L less. The velocity gradient inside the dual hydrocyclone i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e range of the commonly suggested G value, so that diffusion and mixing of the coagulant can be performed with a small capacity. The G·t value of the external hydrocyclone for floc formation is in a suitable range And it was found that it satisfied the conditions of floc formation. Accordingly, the dual hydrocyclone advanced treatment process can reduce the volume of the process with a small capacity and a short residence time,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cohesive floc only by feeding the pump, so that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reduction and maintenance in a compact process configuration.

한국어

환경부는 2012년부터 공공하수처리장 방류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해 방류수수질기준 중 총인(TP)항목에 대하여 기존2.0 mg/L에서 4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0.2 mg/L 이하에서 2.0 mg/L이하까지 강화하였다. 이에 따라 방류수수질기준을 안정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수질특성에 따른 총인처리의 다양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응집공정을 개선하고 총인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dual hydrocyclone 고도처리공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파일럿 플랜트를 구성하여 현장실험을 통해 총인의 처리특성을 분석한 결과 처리수 농도는 0.07~0.16 mg/L(평균 0.10 mg/L)로 0.2 mg/L이하의농도 범위를 안정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al hydrocyclone 내부의 속도경사는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G값의범위보다 높은 수치로 산정되어 작은 용량으로 응집제의 확산과 혼합을 수행할 수 있으며, 플록형성을 위한 외부hydrocyclone의 G·t값은 적정범위에 있어 응집플록 형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dual hydrocyclone 고도처리공정은 작은 용량과 짧은 체류시간으로 공정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펌프에 의한 압송만으로 응집플록을 형성할 수 있어 콤팩트한 공정구성으로 비용절감과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결론
 사사
 Reference

저자정보

  • 이명진 Myungjin Lee. 한국교통대학교 녹색바이오공학과
  • 양승호 Seungho Yang. 한국교통대학교 녹색바이오공학과
  • 송대현 Daehyun Song. 한국교통대학교 녹색바이오공학과
  • 이준호 Junho Lee. 한국교통대학교 녹색바이오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