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原著

음식물폐기물의 조성에 따른 부패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물질의 특성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Major Malodor Substances Produced from Decomposition of Food Waste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김가연, 이재엽, 강주현, 김일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alodor substances produced from decomposition of food wastes. Three types of mixed food wastes(Sample I, II, and III)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and the major malodor substances generated from food wastes were measured by time, and odor contribution and tendency were investigated. Concentrations of malodor substances from Sample I, which consisted of raw food materials including fruits, vegetables, meat and fish were in the order of methyl mercaptan > dimethyl disulfide > acetaldehyde > dimethyl sulfide > butyraldehyde. Concentrations of malodor substances from Sample II, which included a fermented food such as kimchi and raw food materials were in the order of acetaldehyde > methyl mercaptan > dimethyl disulfide > dimethyl sulfide > butyraldehyde. Concentrations of malodor substances from Sample III which was composed of actual food wastes including processed foods were in the order of acetaldehyde > dimethyl sulfide > butyraldehyde > hydrogen sulfide > dimethyl disulfide. Overall it can be seen that the odor contribution of sulfur-based materials such as methyl mercaptan, dimethyl disulfide, and dimethyl sulfide was higher than carbonyl compounds. The results showed that reduced sulfur compounds are dominant malodor species for the food waste consisting of raw food ingredients whereas carbonyl compounds are dominant malodor species for the food wastes with a high fraction of processed food materials. In addition, total amount of odorous compounds generated from food wastes decreased in proportional to the fraction of the processed food materials and the degree of decomposition. However odor intensity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erm although amount of odorous compounds decreased with respect to tim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복합 음식물류 폐기물의 부패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요리를 하지않은 날 것의 상태로 각각 조성비를 달리하여 3가지의 복합 음식물류 폐기물(시료 I, II, III)을 조제하고, 음식물류 폐기물에서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인 환원황화합물과 카보닐화합물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고, 악취기여도 및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생야채 및 날고기 등 비조리 식품으로 구성된 시료 I에서의 악취물질 발생농도는 메틸머캅탄 >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 아세트알데하이드 > 다이메틸설파이드 > 뷰틸알데하이드 순으로 나타났고, 생야채 및 날고기와 함께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이 포함된 시료 II에서의 악취물질 발생농도는 아세트알데하이드 > 메틸머캅탄 >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 다이메틸설파이드 > 뷰틸알데하이드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리된 복합 식재료와 가공식품을 포함한 실제 음식물류 폐기물로 구성된 시료 III은 시료 I·II와 비교를 위한대조군으로서 아세트알데하이드 > 다이메틸설파이드 > 뷰틸알데하이드 > 황화수소 >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순으로 발생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음식물류의 조리 정도가 높을수록 카보닐화합물이, 조리정도가 낮은 생식품류가 많을수록 환원황화합물이 지배적인 악취물질로 나타났다. 또한 음식물류의 조리정도와 부패정도에 비례하여 악취물질의 총발생량은 감소하지만, 시간에따른 악취물질의 발생량감소에 불구하고 악취강도는 오랜기간동안 지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1. 시료준비
  2. 실험 반응조 및 운전 조건
  3. 악취물질 선정 및 채취방법
  4. 악취물질 분석방법
  5. 악취강도 산정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농도 변화에 대한 고찰
  2. 악취 강도에 대한 고찰
  3. 악취강도 경향성
 IV.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가연 GaYeon Kim. 동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재엽 JaeYeop L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플랜트연구소
  • 강주현 Joo-Hyon Kang. 동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일호 IlHo Kim.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플랜트연구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