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전쟁에 대한 일본여성의 반응과 반전・평화운동의 양상

원문정보

Japanese Women's Response to the Korean War and the Trend of the Anti-war and Peace Movement

황익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ction of contemporary Japanese women to the Korean War and to demonstrate the limitations of postwar Japan 's anti-war and peace movement and others' recognition. The anti-war and peace movements of women writers and intellectuals who wer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ttempted to break away from the morality of Japan. The anti-war and peace movements of these women writers and intellectuals were formed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lives, and the aim of the struggle to achieve last was also adap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For this reason, the peace movement or the anti-war movement of women writers and intellectuals has problems that can not be interpreted only by remarriage or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t is necessary for each individual to be able to lead a better life, More attention and effort were focused on whether individuals could address specific issues facing them (eg, economic poverty). However, the development of such an anti - war peace movement resulted in the problem of overproduction of postwar Japanese nationalism and the limitations of other people's recognition of the passive peace movement contrary to the contemporary world.

한국어

이 논문 한국전쟁에 대한 동시대 일본여성들의 반응을 고찰함으로써 전후일본의 반전・평화운동과 타자인식의 한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전쟁을 전후(前後)한 여성작가 및 여성 지식인들의 반전・평화운동은 전전 일본의 도덕관으로부터 탈피하려고 하는 것이었다. 이들 여성 작가와 지식인들의 반전・평화운동은 자신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최후에 쟁취하고자 하는 투쟁의 목표 또한 생활환경의 개선에 맞추어져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여성 작가 및 여성 지식인들의 평화운동 혹은 반전운동은 재군비나 국제관계로만 해석할 수 없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으며, 각각의 개인들이 보다 나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지 또는 가정 내외의 인간관계를 개선하고 개인이 직면한 구체적인 문제(예를 들면, 경제적 빈곤)를 해결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더 큰 관심과 노력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반전・평화운동의 전개는 한국전쟁에 대한 전후일본의 내셔널리즘의 문제와 타자인식의 한계는 도외시한 채 동시대의 소극적 평화운동에 대한 평가만을 지나치게 양산하는 문제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

本論文は朝鮮戦争に対する同時代の日本女性の反応を考察することによって戦後日本の反戦・平和運動と他者認識の限界を実証的に究明することを目指す。 朝鮮戦争を前後にして行われた日本の女性作家および女性知識人の反戦・平和運動は戦前の日本の道徳観から抜け出ることを指向していた。彼女らの反戦・平和運動は自分たちの生活と深くかかわって形成されていた。また最終的には反戦・平和運動の目標も生活環境の改善に向けられていた。そのため彼女らの反戦・平和運動は再軍備の問題や国際問題だけでは説明しきれない問題を孕んでいた。言い換えれば、個々人がより豊かな生活を営むことができるかどうか、また家庭内の女性の地位を改善しながら経済的な困難などの問題を解決できるかどうかにより関心を持って活動していた。しかしこのような反戦・平和運動の展開は、朝鮮戦争に対する戦後日本のナショナリズムの問題と他者認識の限界は度外視したまま、同時代の消極的な平和運動に対する過剰評価を生み出すようになった。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한국전쟁에 대한 동시대 일본여성의 반응
 Ⅲ. 한국전쟁을 전후한 일본여성작가의 반전・평화운동
 Ⅳ.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황익구 Hwang, Ik-Koo.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연구교수. 일본근현대문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