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화장품 위해평가 가이드라인

초록

영어

A risk assessment of cosmetics is a series of scientific prediction of harmful effect and probability when the consumer is exposed to hazard ingredients in cosmetics, which is composed of four steps; hazard identification, hazard characterization, exposure assessment and risk characterization. To develop the safety management in cosmetics, the policy of risk assessment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when the Cosmetic Regulation was revised in August 2011. Despite of the lack of experience and vulnerability of related foundations at the first time, the risk assessment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domestic safety management system by many researchers nowadays. Since the results of risk assessment is significantly used as basic information in safety management policy, maintain the consistency and objectivity of the results is the most important. In addition, each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the risk assessment from all over the world provides specific guidelines about the methods and procedures as a guidance based on the reality of own country. In Korea, the government released ‘Guidance for Risk Assessment of Cosmetics’ in 2011 to use is as basic instructions. This paper generally introduces the methods and related contents of that ‘Guidance for Risk Assessment of Cosmetics’ contains.

한국어

화장품 위해평가는 화장품에 존재하는 위해요소가 소비자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유해영향과 발생확 률을 과학적으로 예측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위험성확인, 위험성결정, 노출평가, 위해도결정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국 내에서 화장품 위해평가 제도는 화장품 안전관리 선진화의 일환으로 2011년 8월 화장품법이 개정되면서 도입되었다. 법 개정 후 초기에는 그 간 국내에서 화장품 위해평가를 실시한 경험이 없고 관련 위해평가 기반이 외국에 비해 취 약하여 어려움이 있었지만, 여러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현재에는 국내 화장품 안전관리 체계에 성공적으로 접목되어 국내 화장품 안전관리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화장품 위해평가 결과는 화장품 안전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로 중요하게 활용된다. 따라서 평가 결과의 일관성 및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각국의 위해 평가 전문기관에서는 자국의 현실에 맞는 위해평가의 방법 및 절차에 등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여 가이드라 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1년 『화장품 위해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그간 국내 화장품의 위해평 가시 기본 지침으로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화장품 위해평가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해 평가 방법 및 관련 내용을 개괄적으로 소개하였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본론
  1. 위해평가의 정의 및 일반사항
  2. 위해평가 필요한 경우
  3. 위해평가 방법
 III. 결론
 감사의 말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용규 Yongkyu Choi.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 민충식 Chungsik Min.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 백은지 Eunji Baek.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 강세진 Sejin Kang.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 이이다 Rheeda Lee.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 김상섭 Sangseop Kim.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 정신애 Shinae Jung.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 박순영 Soonyoung Park.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 서경원 Kyungwon Seo.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 최기환 Kihwan Choi.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