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마술』 일고찰 - ‘상호텍스트성’과 ‘통과의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MAJYUTU of Ryūnosuke Akutagawa : Focused on ‘Mutual Textuality,’ and ‘A Rite of Passage’

임만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JYUTU is the third fairy tale written by Akutagawa Ryunosuke. MAJYUTU comparatively earned positive reviews as a children’s literature in the meantime, but in the literary world, it was only undervalued as a work of art by Akutagawa and even alienated from a study on Akutagawa. Considering this, the paper examined MAJYUTU from two different points of view. First of all, this paper considered an inter textuality. A theory of Plato, ‘Mimesis’ arguing that all art works including novels are a succession of ‘imitation,’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as an idea that explains human and nature in the field of art. Recently, there is a trend that new theory such as an inter textuality and OSMU(One Source Multi Use) is considered as basic ideas and assimilated or changed into various types. Judging MAJYUTU of Akutagawa Ryunosuke from this theory, ‘Mimesis,’ that is a widen idea, it is possible to review this literature from the ‘inter textuality,’ with Majic of Hassan Kan by Tanizaki Junichiro and OSMU aspect in a transition from a novel to a film. Hence, this paper considered the inter textuality between MAJYUTU and Majic of Hassan Kan in priority. Secondly, the paper regarded aspects of human greed and egoism that was precedently researched as a thematic consciousness as a mental and psychological conflict of a subjective ego and analyzed them from a point of view as a rite of passage. Also, it examined processes of hardship caused by human greed such as an internal conflict of a person who enters into the world of magic from a view point of Simone Viernes’s a rite of passage.

한국어

본고에서는 그동안 아동문학으로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문단에서 아쿠타가와의 창작물로는 저평가되어 왔으며 아쿠타가와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마술』에 대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다니자키 준이치로 작품 『핫산 칸의 요술』과의 관련성을 상호텍스트성에 입각하여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 그동안 『마술』의 주제의식으로 선행연구 된 인간의 ‘에고이즘(egoism)’ 양상을 주체적 자아의 정신적・심리적 갈등 체험으로 인식하여 이를 통과제의 과정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로 먼저 『마술』은 『핫산 칸의 요술』을 패러디한 작품으로 인간 내면의 에고이즘적인 측면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핫산 칸의 요술』에서의 등장인물 중 하나인 마티람 미스라와 마술이라는 설정을 차용하였다. 아울러 『마술』과 『핫산 칸의 요술』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작중 주인공이 미스라로부터 체험하는 마술의 형태가 『핫산 칸의 요술』에서는 최면술로 한정된 반면 『마술󰡕에서는 직접 마술을 전수받는다는 설정이었다. 이는 인간의 에고이즘을 부정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장치였으며 이러한 주제의식은 일종의 통과의례적인 과정으로 전개되었다. 즉 주인공 ‘나’가 마술의 습득과 상실이라는 두 번의 전환점을 맞이하며 겪는 과정은 통과의례의 과정인 분리와 전이, 그리고 통합의 과정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작중화자인 ‘나’는 통합의 과정을 거쳐 전혀 새로운 인물로 변모한 ‘나’였으며 이러한 ‘나’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통과의례 과정을 작품 『마술』을 통해 회상하듯 그리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아쿠타가와의 초기 동화작품을 다니자키의 상호텍스트성과 통과의례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핫산 칸의 요술』과의 상호텍스트성
 3. 통과의례 과정
 4. 나가며
 참고문헌
 References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임만호 Im Man-Ho. 가천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어문학과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