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악 호접무를 통해 본 일본문화의 형성

원문정보

The Formation of Japanese Culture through the Butterfly Dance from Korean Music

이부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ance gives a ceremony regular ord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ody. It also demonstrates the cultural influencing power of the host. In this study, I examine one example of a type of performing art classified in Japan as Korean music (Komagaku), the Butterfly Dance, which was popular in the traditional Japanese cour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ural diffusion, I analyzed Japanese literature and historical records, identifying thre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Butterfly Dance. First, it is a dance for children. For example, in one episode in The Diary of Kagerou, Ou Yoshimochi, the famous dancer, teaches the dance to children. In addition, in The Tale of Utsuho, it is performed by children along with the Peacock Dance during the welcoming party for the young Inu Miya, Second, the dance is often performed in Buddhist ceremonies, along with bird dances such as the Peacock, the Parrot and the Kalavinka dances. Third, the Butterfly Dance relates to the image of The Land of Happiness of Taoism. For example, in The Tale of Genji, the dance is used to depict Rokujouyin as an ideal world. Furthermore, in The Tales of Konjaku, the episode of the priest Soga performing Butterfly Dance reflects the ancient image of pursuing freedom through a butterfly. In each case, the Butterfly Dance enhances the work by adding sound and visual effect. In conclusion, the Butterfly Dance shows that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ancient Japan has made Japanese culture more diverse and abundant. Ancient Korean Music has enriched the Japanese performing arts and has made a recurrent motif in Japanese culture through the medium of literature.

한국어

의식(儀式)에서 춤과 음악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질서를 부여하고 주최자 의 문화적 영향력을 보여 준다. 일본의 무악 호접무는 나라 시대에 전해진 고려 악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10세기경에 일본에서 정비되어 그 후 가릉빈과 번 무로 공연되는 대표적 무악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전파의 결과로 촉발된 일본문학과 역사에 나타난 호접무에 대해 조사하였다. 호접무의 특징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호접무는 주로 동무로 공연된다. 관련하여 문 학작품 속의 예로 『가게로 일기』의 활쏘기 시합 장면에서 오 요시모치가 호접 무를 춘 기술을 바탕으로 동무로 공연된 호접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우쓰호 이야기』 「로노우에」 하권의 예를 통해 어린 이누미야를 환영하는 연회에서 공 작무와 함께 호접무가 공연되는 장면을 분석하였다. 둘째, 호접무는 불교 의식 을 시각적으로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헤이안 시대의 한문일기 『쇼유키』 등의 기록을 통해 개안공양회, 사리회 등에서 새 춤과 함께 호접무가 펼쳐졌음을 확 인하였다. 셋째, 호접무에는 도교적 세계관이 들어 있다. 『겐지 이야기』 「고초」 권의 로쿠조인의 계절독경 및 『곤자쿠 이야기집』의 소가성인의 임종 설화를 통 해 자유롭고 초월적인 존재인 나비를 통해 도교적 이상향의 세계를 꿈꾼 고대 인들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호접무의 인용은 소리예술과 시각예술적 요소를 부여하여 각각의 문학작품을 풍부하게 한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한반도와의 문 화교류가 호접무와 같은 일본의 전형적 무악을 낳게 하고 문학작품 속의 고려 악 인용을 통해 일본적 문화원형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고려악의 전 파는 그 최초의 계기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문화교류와 호접무의 연원(淵源)
 3. 동무(童舞)로서의 호접무
 4. 불교 의식의 호접무
 5. 도교적 이상향의 제시
 6. 나가며
 참고문헌
 References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이부용 Lee, Bu-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부 박사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