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통사 점화가 한국 영어 학습자의 여격 구문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on the Comprehension of Dative Construction by English L2 Learners

성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ime Type (PO vs. DO) and Verb Type (Same verb vs. Different verb) in the process of syntactic priming task on the comprehension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 Sixty on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arget structures were dative alternate structures (prepositional-object structure and double-object structure) and scripted interaction task was implemented for the syntactic priming task.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ime Type had an influence on the comprehension of dative construction, while the main effect of Verb Type and an interaction between Prime Type and Verb Type were not found. Overall, syntactic priming effects were found only under the DO construction priming condition. DOD group provided with DO construction priming outperformed POD group provided with PO construction priming. The present study suggests syntactic priming has a critical function as a form of implicit learning in L2 learning contex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통사 점화를 통한 여격 구문 습득 과정에서 구문 유형(PO vs. DO)과 동사 유형(Same verb vs. Different verb)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도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총 61명의 실험 참여자들은 구문 유형과 동사 유형에 따라 임의로 네 개의 실험 집단(POS, POD, DOS, DOD)으로 배정되었다. 실험 결과, DO 구조의 사후 이해도는 구문 유형(PO vs. DO)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DOD 집단과 POD 집단의 평균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사 유형은 여격 구문의 이해도에 유의미한 효과 차이를 가져오지 못하였고 구문 유형과 동사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대조한 결과, DOD 집단의 DO 구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 크기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d=0.75). 이 결과는 통사 점화가 암시적 학습의 형태로 L2 학습에 인지적 기능을 수행하며 L2 학습 상황에서 복잡한 통사 구조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 요약 >>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1. 통사 점화의 이해
  2. 통사 점화와 L2 문법 습득
  3. 통사 점화의 어휘 상승 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목표 언어 형태
  3. 연구 도구
  4. 연구 절차
  5.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2. 구문 유형과 동사 유형의 효과
  3. 일반화 가능성
  4. 집단 내 변화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성상희 Seong, Sanghui.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