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스라엘 핀켈쉬타인(Israel Finkelstein)의 ‘저연대 (Low Chronology)’ 주장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원문정보

An Archaeological Evaluation on Israel Finkelstein’s “Low Chronology”

강후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1995 when he argued that the date of the Philistine’s settlement be down-dated to late 12th century BCE rather than the early, Israel Finkelstein tried to make strata of ancient sites formerly dated to 11th century BCE lowered to 10th, 10th to 9th. The significant change in understanding the feature of the past is found in the period of the so-called “United Kingdom.” Strata formerly dated to 11th century BCE which were poorly settled: no fortification, no public building, no administrative building, etc., are now understood as those of King David and Solom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Finkelstein’s “Low Chronology” and to critically evaluate it. It tried to understand his “Low Chronology” in six different phases, to see how it academically developed in each phase and what were the scholars’ debates in the process. This paper argued that “Low Chronology” be seriously criticized in six main archaeological issues: (1) The recent excavation results from Tel Ashkelon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Philistines’ settlement occurred in the early 12th century BCE; (2) if strata formerly dated to 12th century BCE are down-dated and if strata destroyed by the Assyrians at the end of the 8th century BCE are fixed, strata from 12th to 8th century BCE are too much condensed leaving 25-30 settlement years for a fortified city, which is archaeologically unreasonable; (3) the fact that pottery types from stratigraphic sequence, such as Tel Rehov strata VI, V and IV, traditionally dated to 10th and 9th centuries BCE, do not display sharp change, refutes the argument to lower the date of Tel Megiddo VA-IVB (traditionally dated to 10th century BCE) to 9th century BCE based on “somewhat similarity” in pottery types with Tel Jezreel’s (representative 9th century site); (4) the Shishak’s campaign known from historical, archaeological, and biblical sources, occurred in the end of 10th century BCE and could be an historical anchor to separate 10th from 9th century BCE. Destruction layers in some sites, such as Tel Gezer VIII, Tel Taanach IIB, Tel Megiddo VA-IVB, Tel Beth Shean S-1, Tel Rehov V, etc., are possibly attributed to this campaign. In addition, according to Shishak’s relief in Luxor, he sent his army to the Negev and listed seventy conquered sites. The fifty fortresses or forts, archaeologically known in the region and formerly dated to 10th century BCE, are connected with this event; (5) the recent results of radiocarbon dating from some sites, fit to the traditional date rather than Finkelstein’s “Low Chronology”; (6) the archaeological and epigraphic evidences from Khirbet Qeiyafa and City of David are against Finkelstein’s assertion that there was no adminstration in the 10th century BCE in Judah.

한국어

1995년도 이스라엘 핀켈쉬타인이 블레셋인들의 정착 연대를 기존의 주전 12세기 상반기에서 12세기 말경으로 낮추는 논문을 발표한 이래, 도미노 현상으로 주전 11세기로 편년하였던 고대 정착지점의 연대는 10세기로, 10세기는 9세기로 그 연대를 낮추는 이른바 ‘저연대’ 주장을 펼쳤다. 이 주장에 따르면 이스라엘 역사이해 가운데 가장 중요한 변화는 통일왕국 시대이다. 핀켈쉬타인의 ‘저연대’ 주장에 따르면, 다윗과 솔로몬의 시대인 주전 10세기(통일왕국시대)에는 성서와는 달리 성벽과 성문 등의 요새화 시설, 공공건물, 행정 건물 등 국가세력을 보여주는 모습은 없었다. 본 소고에서 핀켈쉬타인의 ‘저연대’를 고고학적으로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가치평가를 내리고자 한다. 먼저, 핀켈쉬타인의 ‘저연대’ 주장을 여섯 단계로 나누었고 각 단계에 따라 어떻게 그의 주장과 ‘저연대’ 논의가 발전해 나갔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이에 따른 학자들 간의 논쟁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후 여섯 가지의 고고학적 주제에서 ‘저연대’ 주장을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1) 최근의 텔 아쉬켈론 발굴 결과는 블레셋의 정착이 기존의 편년대로 주전 12세기 초반에 이루어졌다; (2) 만약 종전의 주전 12세기 상반기로 편년되었던 지층들을 모두 12세기 말로 연대를 내리고 주전 8세기의 앗시리아에 의하여 파되된 지층을 고정시킨다면 성벽과 성문을 지닌 요새화된 도시의 정착기간이 고작 25-30년밖에 있지 않았다는 결론에 내려지게 되는데 이는 고고학적으로 비합리적인 것이다; (3) 기존의 편년을 따라 주전 10세기-9세기의 것으로 여겨지는 텔 레호브 지층 6에서 지층 4까지 층위학적으로 구분된 곳에서 나온 토기들은 형태상 확실히 구분되지 않는다. 이점은 주전 9세기로 편년된 텔 이즈르엘의 토기가 종전에 주전 10세기의 것으로 편년하였던 므깃도 지층 5A-4B에서 나온 토기와 일면의 유사성을 지닌다고 하여 므깃도 지층 5A-4B의 연대를 주전 9세기로 낮추어야 한다는 핀켈쉬타인의 주장을 설득력 없게 한다; (4) 성서뿐만 아니라 역사자료, 고고학 자료에서 잘 알려진 주전 10세기 말경의 사건 즉, 이집트 바로 시삭의 이스라엘과 유다 침공은 주전 10세기를 주전 9세기로부터 나눌 수 있는 역사적 사건이 될 수 있다. 텔 게젤 지층 8, 텔 타아낙 지층 2B, 텔 므깃도 지층 5A-4B, 텔 벧샨 지층 S-1, 텔 레호브 지층 5 등의 파괴지층들은 고고학적으로 이 사건과 연관된다. 또한 룩소의 벽화에 따르면, 바로 시삭은 그의 군대를 네게브 지역에 보내었고 그가 정복한 70개의 장소를 언급하였다. 이 지역의 고고학적 연구를 통하여 알려진 주전 10세기의 토기를 보여주는 50개의 요새들은 이 사건과 연관시킬 수 있다; (5) 최근 몇 장소에서 알려진 방사성동위원소 탄소 14의 연대는 핀켈쉬타인의 ‘저연대’ 주장보다는 전통 연대에 부합한다; (6) 키르벳 케이야파와 다윗 성에서 발견된 최근의 고고학적, 고문서학적 증거들은 주전 10세기경 남유다에는 국가의 권력을 보여주는 행정화가 없었다고 하는 핀켈쉬타인의 주장에 정면으로 반한다. 이상의 내용을 살펴볼 때 이스라엘 핀켈쉬타인의 ‘저연대’주장은 고고학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

목차

1. 서론
 2. 이스라엘 핀켈쉬타인 이전의 저연대 주장
 3. 이스라엘 핀켈쉬타인의 저연대 주장
  1) 저연대 주장의 발전과정
  2) 저연대 주장이 가져온 새로운 이해
 4. 저연대 주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5. 결론
 6.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후구 Hoo-Goo Kang. 서울장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