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Shuowenjiezi Yi
초록
영어
Baduk (Weiqi) has more than 2,000 years of history. If we consider Yi(弈) of ‘Mengzi(孟子)’ and Yiqi(弈棋) of ‘ZuoZhuan(左傳)’ based on ‘Shuowenjiezi(說文解字)’ written by XuShen(許 愼), its history goes back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letters, which are related to board games, written both in ‘Shuowenjiezi’ of XuShen and in ‘Fangyan(方言)’ of YangXiong(揚雄). The author also investigate their reliability in translation. The following investigated four letters are strongly related to board game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1) Qi(棊) should be a piece for all board games. But it was interpreted as only for Bo(簙) game. (2) Se(簺) should be a game of Se(塞). But in the ‘Se(塞)’ clause there was no explanation related to games. (3) Bo(簙) should be a bamboo stick for Bo(박(博) game. But Bo(簙) was explained as a Bo(博 ) game. (4) Yi(弈) may be the game of Weiqi. There was no more explanation for it in ‘Shuowenjiezi’. YangXiong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game and pieces by mixing them up in his ‘FangYan’. It makes no sense that all materials such as board, dice, container and pieces were regarded as a same function. XuShen explained Yi(弈) as Weiqi and there is no explanation for it. YangXiong wrote “Weiqi(A) is Yi(B)” in his ‘FangYan’. On the other hand, XuShen quoted it as “Yi(B) is Weiqi(A)” in his ‘Shuowenjiezi’. We know that A=>B does not always mean B=>A. Since they did not know the board games, it is fallacious to trust their explanation: “Yi is Weiqi”.
한국어
圍棊(바둑)의 역사는 문헌상 최소 2,000년이 되며, 설문해자에 근거하여 『맹자』의 ‘弈’과 『좌전』의 ‘弈棋’를 바둑으로 해석하면 바둑의 역사는 춘추전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본고에서는 『설문해자』에 수록된 보드게임과 관련된 문자와 허신이 인용한 것으로 알려진 양 웅 『방언』의 문자를 검토하여 이들의 해설에 대한 신뢰성을 검토하여 본다. 『설문해자』에는 ‘棊’, ‘簺’, ‘簙’, ‘弈’의 4글자가 수록되어 있으며 이 글자의 분석 결과는 다 음과 같다. 棊’는 모든 게임에 사용되는 말(알)인데 ‘簙’게임만 사용되는 말이라고 해설하였다. ‘簺’은 주사위를 사용하지 않는 게임인 ‘塞’으로 해설을 하였으나, ‘塞’의 해설에는 게임에 대한 내용이 없다. ‘簙’은 대나무 가락을 의미하나 ‘博’으로 해설하였다. ‘弈’은 자형분석과 관계없이 ‘바둑(圍棊)’이라고만 해설하였다. 양웅은 『방언』에서 ‘簙’과 다른 육박(六博) 기물을 모두 동격(同格)으로 해설하였으며, ‘弈’ 은 다른 설명 없이 ‘바둑(圍棊)’이라고만 하였다. 양웅은 ‘圍棊(A)謂之弈(B)’이라고 하였으나 허신은 ‘弈(B)圍棊(A)也’라고 인용하였다. A=>B라 고 하여도 반드시 B=>A라고 할 수 없다. 허신과 양웅은 모두 게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이 들의 해설을 신뢰할 수 없으므로 ‘弈’이 바둑(圍棊)이라는 해설은 오류라고 판단된다.
목차
I. 서론
II.『설문해자』의 보드게임(盤上遊戱, Board game)
1. 簙棊。從木其聲。( 는 簙棊이다。木의 의미를 따르고其로 발음한다)
2. 行棊相塞謂之簺。從竹塞。塞亦聲。( 棊를 움직여 서로 막으므로 塞이라고 한다.竹과 塞의 의미를 따른다. 塞은 또한 발음요소이다)
3. 局戲也。六箸十二棊也。從竹博聲。古者烏曹作簙。(
4. 圍棊也。從廾亦聲 論語曰不有博弈者乎。(‘ ’은 ‘圍棋’이다. ‘廾’의 의미를 따르고‘亦’으로 발음한다. 논어에 ‘不有博弈者乎’라는 문장이 있다.)
III. 양웅(揚雄)의 『방언(方言)』
1. 집필동기
2. 양웅의 게임에 대한 이해도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