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트랜스휴머니즘 / 포스트휴먼과 일본사회

‘신불(神佛) 애니미즘’과 트랜스휴머니즘 : 가미(神)와 호토케(佛)의 유희

원문정보

“Shinbutsu-animism” and Transhumanism : The Game of Kami and Hotoke

박규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losely examine how had the Japanese concepts of Kami(神) and Hotoke(佛), which have originated from Shinto and Buddhism respectively and are often said to be animistic, influenced greatly on the culture of Japanese technology. Thus, I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humanism and religion, which are deeply associated with “religious transhumanism” among the various types of transhumanism. In so doing, I will present the notion of “shinbutsu(神佛)-animism” by applying the stream of thinking from neo-animism to techno-animism to the case of technological Japan after taking into careful considerations for diverse discourses related to the compatibility of transhumanism and religion. Furthermore, those concepts of Kami and Hotoke will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hinbutsu-animism.” Finally, I will reconsider how technological Japan is related to religion by focusing on several keywords such as game-mind, trans-spirituality, hybrid, and mono-no-aware.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트랜스휴머니즘의 다양한 유형 가운데 특히 ‘종교적 트랜스휴머니즘’과 관련하여 트랜스휴머니즘과 종교의 관계에 주목하면서, 흔히 애미니즘적이라고 일컬어지는 일본 신도와 불교 및 각각의 가미(神)와 호토케(佛) 관념이 트랜스휴머니즘적인 일본 테크놀로지 문화의 중요한 밑그림이라는 점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트랜스휴머니즘과 종교의 양립 가능성을 주장하는 다양한 담론을 간략히 계보화한 후, 네오-애니미즘에서 테크노-애니미즘에 이르는 사유의 흐름을 일본의 사례에 적용시켜 그것을 ‘신불-애니미즘’이라 명명한다. 이어서 그러한 신불-애니미즘과 관련하여 가미와 호토케의 개념사를 살펴본 후 유희성, 트랜스-스피리추얼리티, 하이 브리드, 모노노아와레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종교와 테크놀로지적 일본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트랜스휴머니즘과 종교
 3. 애니미즘의 일본지(日本誌): 네오-애니미즘, 테크노-애니미즘, 신불-애니미즘
  1) 네오-애니미즘
  2) 테크노-애니미즘
  3) 신불(神佛)-애니미즘
 4. 가미와 호토케의 유희
  1) 가미와 호토케의 개념
  2) 유희하는 가미와 호토케 혹은 가미와 호토케를 유희하기
 5. 나오는 말: 하이브리드와 모노노아와레

저자정보

  • 박규태 Park Kyutae. 한양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