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Historical Study on the Full-Act Premiere of <Swan Lake> in Korea
초록
영어
Korean ballet has made a great breakthrough both artistically and academically. However, most of the academic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creative or modern ballet, lacking an attention to how a full-act premiere of a classical ballet was first formed. In this study, we aimed at ascertaining historical truth about how the first full-act premiere of
한국어
최근 국내 발레계는 예술적․학문적 측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지만, 지금까지 수행된 부 분의 학문적 연구들은 주로 한국 창작발레나 현발레에 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고, 국내에서 초연 된 고전발레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한 자료나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1967년 10월 12일에서 10월 15일까지 서울 시민회관에서 공연된 국내 최초의 전막 고 전발레 <백조의 호수>를 상으로 한국의 <백조의 호수>가 유입된 배경과 계보를 고찰함으로써 한국 발레의 근간이 되는 뿌리를 찾고 역사적 사실을 짚어보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본 적으로 50년 전에 이루어진 공연 작품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한 고증을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실증적인 역사자료의 수집 및 분석이 핵심적인 분석전략으로 삼되 실제 공연에 참가한 인물과의 인터 뷰 조사도 병행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1967년 <백조의 호수>는 최초의 공연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일본, 만의 예술 인들이 참여한 국제적인 무용 작품이었으며, 한국인의 예술성과 매력이 세계적으로도 통할 수 있다는 점을 각성케 한 작품이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당시의 열악한 문화 인프라 환경 속에서도 주요 인물들의 헌신적 노력과 사회 각 분야 인사들의 자발적 기여에 의해 전막 초연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었다는 사실은 <백조의 호수> 전막 초연이 단지 일회성 공연이 아니라 사회 적 단합의 촉매제로 작용했던 문화 행사로서 기능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백조의 호수> 전막 초연 기획 및 준비단계
1. 기획 단계: 제작배경 및 주요 인물들의 역할
2. 준비단계: 공연위원회, 의상협찬, 리허설
3. 언론보도 및 사회적 기대
Ⅲ. <백조의 호수> 전막 초연 내용 구성 및 배역들
1. 공연 개요
2. 내용 구성 및 주요 배역
3. 주요 출연자들의 경력
Ⅳ. <백조의 호수> 국내 전막 초연의 의의: 분석결과의 시사점
1. 예술ㆍ문화적 의의
2. 시대사적 의의
3. 시스템적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