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백거이(白居易) 시(詩)에서 나타나는 호무(胡舞)와 대곡악무(大曲樂舞) 양상

원문정보

Aspects of Homu(胡舞) and Daegokakmu(大曲樂舞) shown in Bai Ju Yi(白居易)’s poems(詩)

이화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laced importance on being able to track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ances which were popular in the Tang age (唐代) by examining the aspects of several Homu (胡舞) and Daegokakmu(大曲樂舞) shown in Bai Ju Yi (白居易)'s poems(詩). ≪Homu≫ appeared in the poetry and prose described , , and , while ≪Daegok≫ did and with details. ≪Daegok≫ was the dance that was restructured to add more grandeur and beauty. Bai Ju Yi changed ≪Daegok≫ to descriptive poems to make readers understand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its major historical background and figures. In this sense, the dance of the love between Emperor Xuanzong of Tang and Yang in Xi'an and the Emperor Dézōng of Táng (德宗)'s dances about beautiful music were all related to ≪Daegok≫. Thus, ≪Homu≫ and ≪Daegok≫ reviewed in Bai Ju Yi's poems can be found to be related to the foreign dances that were popular in the Tang age, the creative dances based on the traditional songs and dances, and historicity.

한국어

본 연구는 백거이의(白居易, 772-846) 시(詩)에서 나타나는 여러 악무(樂舞) 양상을 살펴, 당(唐 代)에 유행한 춤 양상과 특징을 추적할 수 있다는 데 의미를 두었다. 당 시는 서역악무와 전통악무가 함께 민간과 궁정에서 공연될 정도로 유행하다. 이런 사실은 백거이 시를 통해 알 수 있다. 당에는 뛰어난 시인(詩人)들이 많이 배출되고 활약했다. 그 가운데 백거이는 수많은 시 걸작을 남 기면서 당 문학사상에 많은 향을 끼쳤다. 특히 악무 양상을 시로 담은 내용에는, ‘노래하는 모습’, ‘춤추는 모습’ 등의 표현에서부터 춤 동작, 춤 의상, 무희(舞姬)의 숫자 등까지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백거이 시에서 크게 두 가지를 주목하다. 첫 번째는, 서역춤, 즉 ‘≪호무 (胡舞)≫’의 여러 춤 양상을 살필 수 있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곡악무(大曲樂舞)≫에서 추어진 춤들까지 포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백거이 시를 통해 ≪호무≫는 세부적으로 <자지무 (柘枝舞)>, <호선무(胡旋舞)>, <사자무(獅子舞)>를 중심으로 살피고, ≪곡악무≫에서는 <녹요무(綠腰 舞)>와 <예상우의무(霓裳羽衣舞)>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그 결과 백거이 시에서 ≪호무≫는 서역(西域)에서 유입된 춤으로 전통악무와는 확연히 다른 이질적 요소를 지닌 화려함, 즐거움, 놀이적 요소가 융합된 춤으로 드러났다. 또한 ≪곡악무≫는 주요한 사적 (史的) 배경과 인물들의 유기적 관계를 지닌 악무 양상으로 밝혀졌다. 이상과 같이 백거이 시에서 ≪호 무≫와 ≪곡악무≫는 당나라 때 유행된 이국(異國)춤과 전통악무를 바탕으로 한 창작춤, 역사성과 유관된 춤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백거이(白居易) 시(詩)문학 활동과 시의 개괄적 이해
  1. 백거이의 시(詩)문학 활동
 Ⅲ. 백거이 시에 나타난 호무(胡舞) 양상
  1. 자지무(柘枝舞)
  2. 호선무(胡旋舞)
  3. 사자무(獅子舞)
 Ⅳ. 백거이 시에 나타난 대곡악무(大曲樂舞) 양상
  1. 녹요무(綠腰舞)
  2. 예상우의무(霓裳羽衣舞)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화진 Lee, Hwajin. 경상대 민속무용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