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처용무 무용서사를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도구 개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Diagnostic Tool of the self Epic using The Epic of Dance of Ch’ŏyong Dance

최미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find out a method to diagnose and cure human epic by performing Ch’ŏyong Dance based on interpreting the movement epic of Ch’ŏyong Dance. Theory of literature therapy analyzed all the Korean fables, and then classified the inner basic epic of Korean people into four categories which were ‘Son and Daughter epic․Man and Woman epic․Husband and Wife epic․Father and Mother epic’ that had a system similar to the stage of human life. The four basic epic of theory of literature therap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pic. The epic focusing on ‘conformity’ to ‘rules’ of ‘world’ was classified as the ‘Son and Daughter epic’, and the epic focusing on ‘selection’ concentrating upon ‘my hope’ was classified as the ‘Man and Woman epic’. Furthermore, the epic focusing on ‘continuity’ by focusing on ‘hope’ of ‘world’ was classified as the ‘Husband and Wife epic’, and the epic focusing on ‘upbringing’ by establishing ‘my laws’ was classified as the ‘Father and Mother epic’. In the previous study, with interpreting the Ch’ŏyong fables related to the Ch’ŏyong Dance for a reference, this researcher interpreted the four basic epic of Literary Therapeutics by connecting with dance movement as follows: ‘Son and Daughter epic - Ho (呼) of meaning ‘exhaling’: bending knee․waist’, ‘Man and Woman epic - ‘walking’, ‘Husband and Wife epic - spinning’, ‘Father and Mother epic - Hep(吸) of meaning ‘inhaling’ and corresponding to ‘upper body movement’: stretching back․arms․hands. In this study, based on this hypothesis, this researcher taught 7 study targets the Ch’ŏyong Dance, performing questionnaires related to four basic epic of Literary Therapeutics. Therefore, it was shown that all the epic categor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If more experiments are performed and their data are collected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ance movement will cure the mind and the body of modern people and contribute to human healthy life.

한국어

이 글은 궁중춤 처용무를 활용하여 인간 내면의 서사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처용설화는 우리 민족의 가장 오랜 천이백년이 넘는 시간동안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원형적 서사로 문학치료학의 4가지 기초서사인 ‘자녀서사․남녀서사․부부서사․부모서사’로 분류할 때 높은 수준의 서사를 가지고 있다. 처용설화와 서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처용무는 춤동작에 있어서도 수준 높은 상층 문화의 아정한 가치관을 담고 있다. 처용무의 춤동작의 의미를 문학치료학의 4가지 기초서사와 연결시키면 ‘무릎․허리 굽힘-걸음걸이-돌기-손․팔의 동작’과 연결시킬 수 있는데, 처용무를 일반인이 배울 때 잘 추는 춤동작과 잘 안되는 동작이 나타나는 것은 개인의 내면의 서사가 처용의 서사와 다르거나 미약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설을 세우고 6명의 피험자들을 선정하여 처용무 춤동작 교육과 설문지 작성을 통해 춤동작 완성도와 인간의 내면의 서사와 일치하는지에 대해 실험하여 보았다. 그 결과 평균적으로 75.5%에 달하는 일치도를 보였다. 앞으로 더 많은 실험을 통한 데이터가 축척된다면 궁중춤 처용무의 춤동작을 활용하여 현대인이 자신의 삶의 서사를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 글은 인문학의 4가지 기초서사이론과 무용학의 접목을 통해 처용무 춤동작의 의미를 해석한 것을 토대로, 실제 춤동작의 수행능력과 인간의 내면적 서사와 일치하는지에 대해 실험한 융합적 시도로써 의의가 있다 하겠다.

목차

1. 서론
 2.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접목한 처용무의 무용서사 해석
  2-1. 문학치료학의 4가지 기초서사 이론
  2-2. 문학치료학의 4가지 기초서사 이론과 접목한 처용무의 무용서사
 3. 처용무 무용서사를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 실험 및 분석
  3-1. 피험자 서사유형별 설문지 분석
  3-2. 피험자 처용무 춤동작 서사 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미연 Choi, Mi-Yeon.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