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四聲通解》에 나타난 今俗音의 성격에 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eum-sok-eum appearing in Saseongtonghae

《사성통해》에 나타난 금속음의 성격에 대하여

愼鏞權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에서는 《四聲通解》(이하 《通解》)의 今俗音에 나타난 주요 표기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 표기의 성격과 가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通解》 今俗音은 주로 표기방식과 음운변화의 반영이라는 두 측면에서 그 성격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 조선시대에 행해진 訓民正音을 사용한 표기는 고유어 표기, 외래어 표기, 외국어 표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외국어 표기에서는 특수한 방식의 표기를 채택하기도 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 간행된 漢學書에는 韻書的 표기방식과 譯學書的 표기방식이라는 두 종류의 중국어음 표기방식이 사용되었다. 《通解》 今俗音은 훈민정음을 사용한 중국어음 표기방식 중 韻書的 표기방식에 기초한 것이다. 《通解》의 今俗音은 고유어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훈민정음 자모뿐 아니라 특수한 방식의 표기까지 가능한 사용하여 최대한 정밀히 당시의 중국어음을 표기한 것이다. 《通解》 今俗音의 정밀전사표기적인 성격은 齒音字 聲母, 支紙寘韻의 終聲, ㅱ 終聲 등의 표기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표기는 외국어 표기이기는 하지만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상 편의를 위하여 고유어의 표기방식을 최대한 활용한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이하 《飜譯老朴》)의 우측음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全濁音 표기인 各自並書와 入聲韻尾 표기 “ㆆ, ㅸ”이 《通解》 今俗音에는 여전히 나타나지만 《飜譯老朴》의 우측음에서 일괄적으로 사라진 것은 음운변화를 반영하는 측면도 있지만 國俗撰字之法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飜譯老朴》의 우측음 표기에서 이러한 표기들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이다. 《通解》 今俗音은 기본적으로 음운변화의 진행 과정을 반영하지 않는 규범음의 표기방식에 기초하고 있으나, 편찬 당시의 俗音이라는 특성 때문인지 음운변화의 진행 과정을 부분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특히 《通解》 今俗音에 나타난 全濁音과 入聲韻尾 표기의 전반적인 양상은 동일한 표기방식에 기초하고 있는 《譯訓》, 《通攷》뿐 아니라 《通解》의 正音⋅俗音과도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이러한 차이가 음운변화의 진전 상황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 것인지 면밀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二元的인 중국어음 표기방식에 대한 이해의 기초위에서 《通解》 今俗音의 표기 상황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이 표기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명확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중국어

本文考察了《四聲通解》(以下簡稱《通解》)的今俗音中所出现的主要表记,由此来讨论它们的性质與價値。《通解》今俗音主要在表记方式與音韵变化的反映两方面,明確地显现出了其性质。 在朝鲜时代使用训民正音的表记可区分为固有語表记、外来語表记、外国语表记等。其中,外国语表记中也采用了特殊方式的表记。在朝鲜时代发行的汉学书中存在两種汉语音表记方式,第一種是以在《譯訓》、《通攷》、《通解》等韻書中出现的表记为代表的韵书表记方式,第二種是以《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以下簡稱《飜譯老朴》)的右侧音表记为代表的译学书表记方式。第一種表记方式是當時多位汉学者分析了韵书的音,並将汉语音的各部分全都用韩文一一对应来表记的严式音标,这種方式一般用做規範音表记。第二種表记方式是为汉语初学者的学习而用普遍使用的训民正音國俗撰字之法来表记的宽式音标,这種方式一般用做现实音表记。使用训民正音的两種漢語音表记方式中,《通解》今俗音正是以韵书表记方式为基礎。 《通解》今俗音中不仅只用了在固有語中使用的普通训民正音字母,也尽可能地用了特殊方式的表记,最大程度地对當時的汉语音做了仔细的标注。《通解》今俗音所具备的严式音标性质明显出现在齒音字聲母、支紙寘韻的終聲、ㅱ終聲等表记中,这样的表记虽是外国语表记,但可见其與为方便汉语学习者的学习而尽量使用固有語表记方式的《飜譯老朴》右侧音的差别。全浊音表记的各自並书與入声韻尾表记“ㆆ、ㅸ”虽在《通解》今俗音中仍有出现,却在《飜譯老朴》的右侧音一概消失,这一现象固然有反映音韵变化的侧面,但具备国俗撰字之法性质的《飜譯老朴》的右侧音表记中难以接纳此種表记这一點,也起到了很大的影响。 《通解》今俗音以基本上不反映音韻变化过程的規範音的表记方式为基礎,但因编纂當時的俗音特性,对音韵变化的进行过程有着部分的反映。著述《通解》的16世纪作为北方汉语的音韵变化多发时期,是发生聲母和韻母的簡化、入聲韻尾的消失、-m韻尾的-n韻尾化、濁音淸化及其相应声调变化的时期。本文对这样的北方汉语情況在《通解》今俗音中以何種方式得到反映进行了观察,尤其是《通解》今俗音中出现的全浊音和入声韵尾表记的總體情況,不仅與以同一表记方式为基礎的《譯訓》、《通攷》有所差别,與《通解》的正音、俗音也见差異,这样的差異是如何反映音韵变化进展情況的,对此问题有必要做细致的考虑。 对《通解》中出现的汉语音展开的研究比較多,而从表记與音韵变化的侧面来对今俗音表记做深度议论的研究却寥寥。《通解》中出现的汉语音表记生动地反映着當時北方汉语的语音现实,若無法正確理解其表记的性质,则無法完全判断其资料價値。本文在对二元的汉语音表记方式的理解基礎上,对《通解》的今俗音表记情況做了仔细地分析,欲明確指出这些表记所具备的意义。

목차

1. 머리말
 2. 《四聲通解》 今俗音의 개념
 3. 주요 中國語音 표기에 나타난 今俗音의 성격
  3.1. 全濁音 표기
  3.2. 入聲韻尾 표기
  3.3. 支紙寘韻 齒音字 표기
  3.4. 기타 聲母 관련 표기
  3.5. 기타 韻母 관련 표기
 4. 맺음말
 參考文獻
 中文摘要

저자정보

  • 愼鏞權 신용권.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