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借《杜律啟蒙》對邊連寶批 “神韻說”之因再剖析

원문정보

A re analysis of Bian Lianbao’s refutation of romantic charm theory based on Rudimentary knowledge of Du Fu’s metrical verses

차《두율계몽》대변연보비 “신운설”지인재부석

劉暢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s, the reasons for Bian’s refutation of romantic charm theory are re analyzed by means of his work Rudimentary knowledge of Du Fu’s metrical verses. Through Bian’s interpretations, his pursuing for the gist of poems and his ideas of Poem writing、aesthetic feature and appraciation can be explored more deeply and specifically. In this way, the reasons why he had a sharp and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theory of romantic charm are attempted to be found. In chapter 2, by using poetry creation as the breakthrough point, it is revealed that Bian’s refutation of romantic charm theory is focused on its absence of “tempermament”. However, the study on Wang Shizhen’s works of poetry comment, such as 《Dai Jing Tang Shi Hua》, gives a different conclusion. Wang’s concept of “tempermament” is not as narrow as Bian had criticized. Then, by analyzing and summarizing the idea about “tempermament” which Bian has presented in his work, along with Du Fu’s metrical verses, which were classified as the works of “tempermament” or “romantic charm”. Comparing with Wang’s concept of “tempermament”, Bian’s is obviously narrower, and the spirits of two are distinctly different, which leads to the principal reason of his refutation of romantic charm theory. In chapter 3, Bian’s refutation on the idea that Poems of “romantic charm” cannot be interpreted is introduced and discoursed. His propose of “unfolding the concealed meaning”, as a matter of fact, is an appreciation theory which inherited from his concept of “tempermament”. Finally, specific examples were given to experience how Bian was “unfolding the concealed meaning”.

한국어

본고는 지금까지 깊이 연구되지 않은 변련보(邊連寶)의 신운설(神韻說) 비판에 대한 원인을 고찰하였다. 전문적으로 이 문제에 대하여 연구한 연구 성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으며, 관련된 토론은 변련보의 시학 이론 등을 연구한 논문 중에서 분산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분석면에서 간단하고 깊지 못하며 주로 두 가지 방향으로 나뉜다. 즉 신운설 자체에 약점과 문제가 있고, 변련보가 시인 방개(龐塏) 등의 영향을 받아서 신운설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과 변련보가 신운설에 대하여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원인은 이처럼 표면적이고 간단하지 않다. 그리하여 본고는 변련보의 《두율계몽(杜律啓蒙)》 중의 시평을 중심으로, 그의 몇몇 시에 관한 논설 등을 참고하여 분석을 전개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신운설에서 시의 본류로 인식한 ‘성정(性情)’에 대한 변련보의 인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변련보는 협의의 개념으로 ‘성정’을 인식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었는바, 광의의 개념으로 인식한 왕사정의 ‘성정’과는 다른 모습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변련보가 파악한 ‘성정’의 개념과 신운설에서의 ‘성정’은 다른 범주였기 때문에, 변련보의 신운설에 대한 비판은 당연한 결과인 셈이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언급한 ‘성정’이란 시의 본원이 어떠한 방식으로 시에 표현되고, 이를 기반으로 시를 어떻게 평가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변련보와 신운설의 첨예한 대립에 대해 고찰하였다. 신운설은 ‘한 자도 쓰지 않고, 멋을 다 표현한다.’라고 하였듯 시의 함축성을 중시한 반면, 변련보는 시의 함축성과 함께 이(理)를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본고에서는 변련보의 《두율계몽》에 나타나는 시평을 중심으로 그가 신운설을 강하게 비판한 근본 원인에 대한 탐구를 통해 변련보가 지닌 시에 대한 인식과 평가 기준 등을 탐구할 수 있었다.

목차

1. 緒論
 2. 邊連寶批 “神韻說”無 “性情”之因
  2.1 邊連寶批 “神韻說”無 “性情”
  2.2 從 《杜律啟蒙》看邊連寶所言 “性情”之實質
 3. 邊連寶批 “詩不可解”論之因
  3.1 邊連寶對 “詩不可解”之批與 “舒展折疊處”之立
  3.2 從 《杜律啟蒙》看邊連寶對 “理”之 “舒展”
 4. 結論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劉暢 유창.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