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旅軒 張顯光의 學校敎育論과 그 道德敎育的 함의

원문정보

Yeoheon Jang Hyeongwang’s perspective on schooling and the implication of moral education

여헌 장현광의 학교교육론과 그 도덕교육적 함의

朴鶴來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ang Hyeongwang is one of the leading scholars since the era of Toe’gye and Yulgok in Korean Confucianism. Thus, this paper will summarize his schooling, i.e., education in local school(Hyanggyo), specific activities, and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Although Toe’gye and Yulgok recognized the problems of local school and their indictment revealed in 16th century, they sought different solutions to overcome the issues. Toe’gye paid attention to establishment of local academy(Seowon) and strengthening its stature in order to renew Confucian education while Yulgok kept an eye on reformation of local school as governmen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revitalizing schooling, fostering the talented and establishing moral discipline. In this context, I will summarize Yeoheon’s perspective on schooling in terms of the difference with Toe’gye and Yulgok’s ideas. Especially, I will analyze his problematique paying attention to restoration of moral order in local communities devastated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how it makes connection with local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 Furthermore, I will systematically examine the educational regulation of Indong local school(Indong Hyanggyo) he proposed and what its contents and real body he intended. In addition to these, I will suggest how much Yeohon’s ideas on local education are meaningful in moral education and what kind of insightful things they would give us in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한국어

본고는 退溪와 栗谷 이후 조선 성리학을 주도했던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旅軒 張顯光(1554~1637)의 학교 교육, 특히 鄕校 敎育에 대한 입장과 구체적인 활동을 검토하고,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정리한 것이다. 16세기를 전후한 시기부터 구체화된 향교 교육의 폐단에 대해 퇴계와 율곡은 모두 그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에 대한 처방에서는 구별되는 입장을 드러냈다. 퇴계가 향교 교육의 폐단을 지적하면서 유학 교육의 면모를 일신하기 위해 書院의 건립과 위상 강화에 주목하였다면, 율곡은 관학 교육기관으로서 향교의 교육 개혁에 보다 관심을 기울였고, 이를 통해 학교 교육의 면모를 일신하고 인재 양성과 윤리기강의 확립을 추구하였다. 본고에서는 퇴계와 율곡의 구별되는 학교 교육 개혁에 대한 입장에 유의하면서 여헌의 학교 교육에 입장을 고찰하였다. 특히 임진왜란 이후 피폐해진 향촌 사회의 도덕 질서 회복에 주목한 그의 문제의식이 어떻게 향교 교육과 연결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그의 향교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그가 제시한 인동 향교의 교육 조목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가 의도한 향교 교육의 내용과 실체가 무엇이었는지도 함께 검토하였다. 나아가 여헌의 향교 교육에 대한 관심과 활동이 도덕교육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피고, 현재 교육 현실과 연관하여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試論的인 입장을 제시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학교 교육의 성쇠와 대안 모색
  1. 관학 교육기관의 설치와 운영
  2. 향교 교육의 약화와 대안의 모색
 Ⅲ. 학교 교육의 진흥을 위한 여헌의 관심과 활동
  1. 지방관으로서 향교 교육에의 관심
  2. 인동향교의 재건과 향교의 교육 기능 강조
  3. 향교 교육 운영에 관한 조목의 제시
 Ⅳ. 여헌의 향교 교육론이 갖는 도덕교육적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朴鶴來 박학래. 군산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