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시장 구축을 위한 담론생산과 정치세력화에 관한 소고 - 한국서예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Discussion and Political Power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rt Market - Focusing on Korean Calligraphy -

이종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reality of Korean culture & art world where artists’ creative work activities are not helpful to their economic life, in order for Korean calligraphy to recover its status of art and also to overcome this crisis, the creation of market is the most essential precondition. The creation of market is possible only when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calligraphy circles and production of discourse are combined with the mid/long-term plan of the governmental law/system/administration/budget. At this time, the basis of the government support is the public convenience of calligraphy. Therefore, Korean calligraphy circles should stimulat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calligraphy circles, and also lead the solidarity and support by persuading people through the production/distribution of calligraphy discourses. Without support and solidarity with the state and people, it is impossible to create an independent market focusing on calligraphy circles while it is also limited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of calligraphy. Moreover, highly-artistic, innovative, and bold works containing the spirit of the times should be created because work is the only prerequisite of market, contents of market, and results of market.

한국어

‘문화융성’과 ‘창조경제’는 종말을 고했다. 박근혜정부에 의해 주도된 일련의 정책들은 말:잔치로 끝났고, 블랙리스는 배제와 배타주의를 낳으며, 결국 “작가의 창조적 창작활동이 그 작가의 경제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 말(馬)잔치였음이 드러났다. 세금과 불공정 자본을 훔쳐 권력을 불려온 정권은 그렇게 붕괴되어 갔다. 흡사 ‘문화융성’ 슬로건에 취해 그것과 보조를 맞춰가던 한국서단도 더불어 위기가 심화되었다. 서총의 슬로건도 ‘문화융성’이었다. 공교육체계 내에서의 서예학과는 줄지어 폐과되고, 서예작가의 작품이 매매되는 시장은 자본주의 시장경쟁체제 안에서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작품의 주제와 형식, 창작방법, 관람자와의 소통 가능성 등 서예문화의 예술적 구성요소들과, 서예의 비예술적 구성요소들, 예컨대 도제식 교육의 팽배, 공모전 중심의 서단 조직 운영 등은 여전히 전(前)근대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한국사회의 서예인구의 감소와 서예활동의 축소, 그리고 영향력 감퇴는 당연하다 하겠다. 특히 시장의 부재와 정책의 부재는 서예의 부재를 낳고 서예의 부재는 시장과 정책의 부재를 낳은 악순환의 고리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목차

<논문요약>
 Ⅰ. 시작하는 말
 Ⅱ. 작품시장의 창출
 Ⅲ. 한국서단의 정치세력화
 Ⅳ. 서예담론의 생산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선 Rhee, JongSun. 한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