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릴케가 본 붓다 -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만남`의 의미에 대한 시론 -

원문정보

Buddha, Whom the Way Rilke saw - An experimental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cultural 'Encounter' between East and West

최재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n experimental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cultural `encounter` between East and West, focusing on the Buddha on the three poems of the German poet Rilke. The German poet Rainer Maria Rilke(1875-1926) was inspired to write several poems about the Buddha (Gautama Siddhartha) by a Buddhist image in the garden of the workshop of the French sculptor Auguste Rodin(1840-1917) in the process of advancing his writing. In Korea, there have been lots of literary accomplishments and researches on Rilke, at the same time, no study about Rilke and Buddha. In this paper, `Rilke and Buddha` will b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intercultural philosophy rather than of German literature study.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reveal how oriental culture, especially Buddhism, was possessed and discussed in the West. In this way, the meaning of cultural `encounter` between East and West will be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philosophy. For Rilke, the Buddha was not a mediator that triggered religious emotions or reactions, but a way of training a new perspective on the world and things which was triggered by Rodin or Cezanne. And the essence(=`form`) of the object captured by such a new perspective was expressed by Rilke`s deep internal `fresh language`. Leopard, Buddhist Image, etc., played a great role as instruments of Rilke`s own personal writing, but his reverence for the subjects themselves was low. In other words, Rilke did not understand Buddha in a religious sense. This means that he viewed Buddha as the object of his linguistic expression(=writing), not as the transcendental sacredness that Buddhists generally feel. Rilke wanted to create his own `best`, `fresh` language that has not been spoken yet. It is, before being expressed in language, a material form that is reclining to silence. Rilke was looking for such language(=writing), as if the `Greek temple` sealed with `silence` met the language and revealed itself to the world. Finally, the conclusions that can be drawn from this discussion are as follows: The encounter between culture and thought that is mediated through `language` goes on to understand or organize itself and its own experience system in cognitive hybridization-metastasis-liquidity. Therefore, the meeting of cultures is the process of `going to a new big me` while abandoning the small ego. In culture, `encounter` is not a universalization process but an extremely sincere micro-process of seeking to be myself(like-me-ness).

한국어

이 논문은, 독일 시인 릴케가 자신의 글쓰기를 진척시키는 과정에 만난, 프랑스 조각가 로댕의 작업장의 정원에 놓인 불상(佛像)에 촉발되어 쓰여진 그의 `붓다(Buddha)` 시 세편을 중심으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만남`의 의미에 대한 논의한 하나의 시론(試論)이다. 국내에 그동안 적지 않은 릴케에 대한 문학적 성취나 연구 성과가 있어왔으나 릴케와 붓다 관련 건은 없었다. 나는 일단 독일문학 연구의 맥락에서라기보다는 상호문화철학이라는 방향에서 논의를 진행해 볼 것이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동양의 문화, 특히 불상이 서양에서 어떻게 영유되고 논의되는 지를 밝힐 것이다. 이를 통해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만남`의 의미가 상호문화 철학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될 것이다. 릴케에게 붓다상은 종교적 감동이나 감응을 촉발하는 매개체라기보다는, 그가 로댕이나 세잔을 통해서 촉발된, 세계와 사물들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훈련의 방법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새로운 시선에 의해 포착된 대상의 본질=`형상`은 릴케 자신의 깊은 내면에서 길어 올린 `신선한 언어`로 표현되었다. 표범, 불상 등은 릴케 자신의 개성적 글쓰기의 계기로서 큰 역할을 했다고 하겠으나 대상 그 자체에 대한 경외감은 저조하였다. 다시 말해서 릴케에게서 불상은 종교적인 의미에서 이해되지 않았다. 즉 불교도들이 일반적으로 느끼는 초월적 성스러움이 아니라 단지 그의 언어적 표현=글쓰기의 대상으로서 불상을 보고 있었다. 릴케는 자신의 `최상의` `아직 발설되지 않은` `신선한` 언어를 만나고자 했다. 언어로 표현되기 이전의 그 무엇은 `침묵에 기댄` 물상이다. 마치 `침묵`으로 봉인된 `그리스 신전`이 언어를 만나 표현되어 세상에 존재를 드러내듯이 릴케는 그런 언어=글쓰기를 찾고 있었다. 결국 이 논의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사실이다: 문화와 사유의 만남은 `언어`를 매개로 이루어지며, 이 만남마저도 인지적 혼성-전이- 유동성 속에서 자신-자신의 경험체계를 이해하거나 정리해간다. 따라서 문화의 만남은 작은 나(에고)를 버리면서 `새로운 큰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문화에서 `만남`이란 보편화 과정이 아니라 나다움을 찾는 지극히 미시적인 진지한 과정이다. 아울러 남을 나 속에 받아들이면서 상호적 `차이`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일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로댕의 정원에 놓인 ‘불상’과 릴케의 붓다 시
  1) 릴케와 로댕
  2) 불상-붓다에 대한 릴케의 시 세 편
 3. 릴케의 글쓰기와 에크프라시스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재목 Choi, Jae-Mok. 영남대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