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자 수양론의 구조적 특성 연구 - 노자의 복귀(復歸)사상과 관련하여 -

원문정보

A Study on Structural Characters of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 In Connection With Laozi's Thought on ‘The Return’ (復歸) -

김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imed at clarifying the philosophical characters of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Zhuangzi`s thought on the Tao (道) as the extreme point of the cultivation, and his opinion on the process from the real world to the world of Tao, are originated from Laozi`s philosophy. Laozi thought that the Tao changed and all things were created. And at the end all things returned to the world of Tao as the origin of all creatures. This idea about `the return` is the original form of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according to which man`s consciousness must overcome relative viewpoints to return to the supreme spiritual stage. The awakening of Tao in Zhuangzi also means the unity of the `ontological` Tao and the Tao as understood in the theory of cultivation. That is because that the Tao in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is the imitation of the ontological concept of Tao. The ontological `Tao` as the origin of all things is the absolute concept that transcends the relativity, hence the Tao as the supreme spiritual stage of cultivation has already involved the meaning of the `ontological Tao`. The extreme point in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must be understood as the unity of the Tao as `the supreme spiritual stage` and one as `the supreme stage of consciousness`. If the epistemological awakening does not be achieved, then the real state of the existence cannot be seen. It means the true cultivation cannot be fulfilled, neither can the true life. Therefore in the Tao as the concept of the theory of cultivation, the meaning of Tao as the supreme state of the cognition has been already included. Zhuangzi divides the process of awakening of the Tao (得道) into 9 or 7 stages. The common point of those two ways of division is that both of them have the direction to the realm of Tao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cultivation according to which man develops gradually from the imperfect appearance to the world of Tao is obviously established based on Laozi`s thought on `the return`. It can be seen that this character of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is formed from the attempt of Taoism (Laozi and Zhuangzi`s philosophy) to solve the problems of man`s life by means of the ontological consideration.

한국어

본 논문은 장자의 수양론이 가진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장자의 수양론은 노자철학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장자가 수양의 궁극점을 도(道)로 삼음은 물론, 현실세계에서 도의 세계로 점차적으로 나아간다는 이론전개 구도 역시 노자철학에서 가져왔다. 노자는 도의 분화작용을 통하여 만물이 생성된다는 형식의 존재이론을 제시했다. 그리고 만물은 궁극적으로 존재의 근원인 도의 세계로 복귀한다고 보았다. 장자의 수양론은 바로 노자의 복귀사상을 기초로 하여 전개된 것이다. 노자의 복귀사상은 인간의 의식이 상대적 관점을 떠나 최상의 정신경지로의 복귀를 추구해야 한다는 장자 수양론의 원형이 된다. 이는 장자의 수양론에서의 도는 존재론에서의 도 개념을 모사(模寫)했음을 의미한다. 존재론에서의 도는 만물의 본원으로서 상대를 초월한 절대적 성질의 개념인데, 수양의 궁극적 경지로서의 도에는 존재론에서의 도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장자 수양론에서의 득도는 `최상의 정신 경지`에 나아감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내면적으로는 `인식의 최고 경지`로서의 도의 의미도 함재되어 있다. 인식론적 각성을 얻지 못하면 존재의 실상을 바로 볼 수 없다. 이로써 최상의 정신경지를 확보할 수 없어 참된 수양을 이룰 수 없고, 또한 참된 삶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수양론에서의 도에는 인식의 최고경지로서의 도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장자는 득도의 과정을 9단계 또는 7단계로 나누어 설명했다. 양자에서 볼 수 있는 공통점은 자기초월을 통하여 점차 도의 경지로 나아간다는 이론체계를 가진다는 것이다. 불완전한 인간의 모습에서 점차적으로 도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구조의 수양이론은 바로 노자의 복귀사상을 기초로 하여 전개된 것이다. 장자 수양론이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것은 바로 노장철학이 인간의 삶의 문제를 존재론적 검토를 통해 해결하려한 데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복귀사상에 근거한 수양이론
  1) 노자의 복귀사상에 근거한 수양이론의 전개
  2) 노자의 복귀사상에 근거한 장자의 수양방법
 3. 장자의 득도과정 및 경지
  1) 득도의 과정
  2) 득도의 경지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 Kim, Ki. 충남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