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스터의 신앙공동체 이론을 통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Based on Foster’s Theory of Faith Community

김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new insights to apply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Korean churches by diagnosing problems in the realit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and by looking at different ideas and theories, through Foster’s multicultural education of communities of faith through which transformation embracing diversity can integrate with tradi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here multicultural society is rapidly in progress. The purpose begin with, raising the questions,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and understand basic i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Why could Forster’s educational theory of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be the alternative?’and this study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the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and the framework of education. I sought to derive education models of his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from the visions of existing together, practicing together, hoping together. and I reinterpreted Foster’s theory and described actual programs(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applicable to situations within the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es for the Christian people in ecclesial communitie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will lead to the education designed to bring about a new awareness especially to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in forms of education including community, different ways of life, the embrace of diversity, and hospitality, unlike conventional education focusing mainly on knowledge acquisition, such as professor- based instruction, school-based education, etc. Secondly, this study based on Foster’s education theory is not a study accepting indiscriminately or denouncing western theories, but a study suitable for situa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with a holistic perspective. It can be presented as a study which may establish a system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divided states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pa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t can also be seen as a basic theory of multicultural ministry which forms the perfect blend of theory and practice, such as new institutions, pastoral approaches, re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inistries, and pastoral counseling. Thirdly, this study can present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It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recovering churches again as the place of the public community and making them coexist with their regions and neighbors beyond their internal dimension through education connected to communities includi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nd to other relevant communities or local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will provide alternative pathways for problems and for the status of Christia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challeng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that Korean churches are facing. Now I am hoping this study will be a paper acting as the pump priming water to give directions and points of application to Korean churches through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inistrie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화가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차원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오늘의 한국 상 황에서, 전통과 변혁의 통합 교육과 다양성 을 포용하는 다문화적 신앙공동체를 추구하는 포스터의 이론에 기초하 여,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진단하며,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 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개념 및 다양한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회 다문화 기독교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통찰력 모색함을 목적으 로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먼저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기본 이해와 한국의 연구동향은 어떠한지?, 왜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이론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포스터의 다문화 신 앙공동체교육의 배경과 교육 구조,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재개념화에 대한 내용들을 도출하고, 포스터의 이론을 종합, 정리하여 성인 초기 기 독교인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와 한국교회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실제 프로그램(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얻게 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교 육 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과거 전통적인 교육 구조, 즉 지적인 차원에만 초점을 둔 교수 중심, 학교식 중심 등의 교육과는 달 리 공동체적, 다양성, 포용성, 환대성 등을 포함한 교육구조로,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과 특별히 다 문화 기독교교육 부분에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교육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서구의 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답습,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통전적 조 망’으로 한국 사회의 상황과 한국교회의 실상과 맞는 연구로서, 특별히 한국의 분단과 연결하여 통일교육에 대한 부분과 새터민 등 탈북이주자 에 대한 부분들도 연계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목회적 부분, 즉 한국교회의 전문적인 다 문화 목회에 있어 새로운 제도와 목회 방식, 다문화적 목회 상황 재정비, 목회상담 등 이론과 실천의 온전한 조화를 이루는 다문화 목회의 기본이 론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셋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이론 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 립하며, 삶의 장인 지역사회와 각 유관기관과 연계한 교육으로, 교회의 내적 차원을 넘어서 지역과, 이웃과 공존하며, 외적인 사명을 온전히 감 당하는 공적공동체의 자리를 다시 한번 회복시킬 수 있는 대안 연구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교회가 직면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대한 현 황과 문제점들에 대한 한 대안으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 교육과 다문화 목회의 적용점과 방향 설정에 대한 마중물교육의 연구로 볼 수 있다.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다문화 기독교교육 기본이해와 한국의 연구 동향
 Ⅲ.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이론 탐구 및 분석
  1.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이론 배경
  2.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구조
  3. 분석을 통한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재개념화
 Ⅳ. 포스터 이론을 통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 제안
  1. 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 설계
  2.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프로그램 실제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미 Young Mi Kim. 한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