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통색명의 한글화에 관한 연구 - 규합총서의 오정색, 십간색 색채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Hangul Color Terms of Traditional Color - Focused on 5 Basic Color, 10 Secondary Color Terms in Gyuhapchongseo -

정성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of Korean language color and color name which can secur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Kore an traditional color is not active compared with neces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basic researc h and the hangeul color name which can secure the elabo ration,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traditional color. The range of this study was the comparative study of th e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ranging from the traditional basic color to the fifteen - color names of the fifteen colors, which were recorded in Hangu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riteria for adoption of Hang eul, the criteria for translating Han-gul color into Korean, KSA 0011, and conformity with Han-gul were decided. D epend on criteria for adoption, Chinese color terms were replaced in Korean color terms. As the results are as foll ow, White(白)-하양, Yellow(黃)-노랑, Red(赤)-빨강, Blue (靑)-파랑, Black(黑)-검정, Grey(黻)- 잿빛, Pink(紅)-분 홍, Orange(熏)-주황, Purple(靘)-보라, Green(綠)-초록, Brown(黝)-갈색, Violet(紫)-자색, Ultramarine blue(黲)- 민색, Light blue(碧)-벽색, and Light yellow(硅)-천색. Co mparing the basic color names of Korean, Japanese, Taiwa nese, and Chinese characters, the comparison of Korean tra ditional color names, Korea's traditional color, KS A30011, and the traditional color triad of the National Museum of C ontemporary Art should compare with the study of the trad itional color of Han-gul.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th at the study of the author's subjective claim lacks objectivi ty and another limitation is 15 colors in the study range. Su bsequent studies should continue.

한국어

한국 전통색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글 색 채어·색명 연구는 필요성에 비해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에 본 연구는 전통색 색채어·색명의 정교함과 보편성과 특수 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연구와 한글색명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순 한글로 기록되어져 있는 규합총서의 전통색명 정색과 십간색의 15색명을 범위로 선행 연구와 관련문헌과의 비교연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글 색채어 채택의 기준을 한글 색채어, K SA 0011와 일치여부, 보편성, 적합성으로 정하였다. 이 기준 에의해기본색백, 황, 적, 청, 흑은 한글 색채어인 하양, 노랑, 빨강, 파랑, 검정, 흑백 간색은 순 한글 색채어인 잿빛, 분홍, 주황, 초록, 보라, 자색은 KSA 0011와 일치하여 규합총서의 색채어를 그대로 채택하였다. 벽색과 민색은 규합총서의 색 채어를 채택하였다. 규합총서의 색채어 중 보편성에 문제가있는 천색과 갈색은 보편성이 있는 색채를 채택하였다. 한국· 일본·대만·중국의 기본색명을 비교를 통해 한자 색명의 불일 치, 한국의 전통색, KS A 0011, KBS전통색명 연구, 국립현대 미술관의 전통색 삼속성을 비교연구 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점은 전통 색채어 한글화 연구와 병행되어야 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오정색과 십간색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는 연구자의 주관적 주장이라는 한계를 지니며, 후속연구는 지속되어야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색(色)
  2.2. 전통색(傳統色)
  2.3. 색채어(色彩語, Color Words, Color Term)와 색명(色名, Color Name)
  2.4. 색채어의 특성
  2.5. 기본 색채어(Basic Color Term)
  2.6. 한국어의 기본 색채어
 3. 색채어 비교
  3.1.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색명
  3.2. 규합총서 색채어의 보편성
  3.3. 규합총서와 KS A 0011 기본색명
  3.4. 규합총서의 색채어와 한자 색채어
  3.5. 규합총서의 색과 표색계
 4. 소결
 5. 결론
 6. 연구의 한계 및 향후연구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성환 Chung Sung Whan. 전북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